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기자/중구 블로그 기자

대구 관광명소 - 대구시 중구베스트경관 제1선, 대구유형문화재 제1호 제2호, 국보 제330호, 400여 년 영남의 수도 경상감영공원.

SMALL

- 중구베스트경관 제1선 경상감영공원, 대구유형문화재 제1호 선화당, 국보 제330호 측우대 -

경상감영 부지는 1966년에 경상북도 청사가 산격동으로 이전한 후, 1970중앙공원으로 조성되었으며, 1997년 경상감영공원으로 명칭이 개칭되었습니다.

복잡한 도시생활에서 찌든 피로와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푸른 숲과 계절마다 아름다운 꽃 잘 정돈된 잔디광장 무더위를 잊게 해주는 시원한 분수 그리고 산책로와 벤치 등이 마련되어 있는 아득한 휴식공간이며 대구를 찾는 외지인도 역사공부를 하며 즐겨 찾는 명소입니다. 

◈위치 : 대구 중구 경상감영길 99 (포정동)

☎ 전화 : 053-254-9404

 

 

1. 경상감영(慶尙監營)은 조선의 지방 행정의 8도제하에 경상도를 관할하던 감영이랍니다. 현대의 도청과 같은 역할을 했다고 해요.

조선 초기에는 경주에 위치해 있던 것이 상주, 팔거현, 달성군, 안동부 등지를 옮겨다니다 선조34년, 최종적으로 대구로 이전되어 그곳에 정착하였답니다.

이후 고종 33년 갑오개혁으로 지방 행정을 13도제로 개편한 뒤에도 경상북도의 중심지였답니다.

1910년 경상북도 청사로 개칭하였으며.1966년 경북도청을 포정동에서 산격동으로 이전하여 현재에 이른답니다.


2. 선화당은 대구유형문화재 제1호, 중구베스트경관 제1선 이랍니다.

경상감영의 정청으로서 대구에 경상감영이 정착하게 된 선조 34년 이곳에 세운 건물 이랍니다.

그후 현종 11년영조 6년 순조6년 세차례의 큰화재로 불탔으나 순조 7년에 새로 지었고 1970년에 중수 하였답니다.

이 건물은 현존하는 관아 건축이 별로 없는 우리나라에서는 아주 귀한 가치를 지닌답니다.

  

3. 대구 선화당 측우대는1985.8.9. 보물 제842호로 지정되었답니다.

재료는 화강석 제작연대는 1770년 기상청에 소장되어 있답니다.

대구 선화당 측우대는 측우기를 밭치는 측우대 중에서 제작연대가 확인된 유일한 것이며, 1950년 초에 기상청으로 이관되었답니다.

이후 선화당에는 측우대만 모형으로 설치되어 있었으나, 2015년 12월 시민들의 이해를 돕기위해 기상청에 소장되어 있는 측우기를 보물제 651호 금영측우기 모형으로 제작 설치 하였답니다.      


4.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는 문화재청에서 최근 기상청이 소유한 대구 선화당 측우대를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라는 명칭으로 바꿔 국보 제330호 로 지정했답니다.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는 현존하는 측우대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며,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이 측우대는 앞쪽과 뒤쪽에 ‘측우대라는 글자를 새겼고, 제작 시기를 알려주는‘건륭경인오월조’라는 문구가 있답니다. 윗면 길이가 36.7㎝, 폭이 37㎝이며, 가운데 구멍 지름은 15.5㎝이랍니다. 전체 높이는 46㎝, 이러한 규격은 임진왜란 등을 거치며 시행되지 못한 측우 제도가 영조 대에 부활했음을 증명한다고 문화재청은 설명하고 있습니다.


5. 징청각은 대구유형문화재 제2호이며, 경상도 관찰사의 처소로서 선조 34년 경상감영이 대구에 정착하면서 대구의 선화당등 여러채의 건물과 함께 새워졌답니다.

그후 여러차례의 화재로 불탄것을 순조 7년에 다시 지었고 1970년 공원조성 때에 중수하여 오늘에 이른답니다.

  

6. 종각에 있는 통일의 종은 조국 통일을 기원하는 뜻으로 만들어졌답니다.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달구벌대종이 만들어지기 전까지 제야의 종 타종식을 거행했답니다.


7. 이 도로원표는 각도시간 도로거리의 기준이되는 지점으로서, 우리시 도로원표의 진위치는 이곳으로 부터 동쪽 215m 떨어진 지하철 중앙로역 북편 출입구앞  네거리 도로중심으로서 차도상레 설치 할 수 없으므로 역사성이 깊은 이곳 경상감영공원으로 1999년 1월 1일에 설치하였고, 본원표에 표시된 각 도시간 도로거리는 진위치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진위치의 좌표는 동경 128도 35분 37초. 북위 35도 52분 09초 지점이랍니다.

서울은 306km, 부산은 154km, 대전은 154km, 광주는 214km, 포항은 86km, 평양은 499km 라고해요

             

8. 이 비림들은 역대 경상도 관찰사 및  대구 판관 선정비랍니다.

대구향교 및 시내 도처에 산재해 있던 것을 시민에게 그 참뜻을 알리고자 선정의 현장인 이 곳으로 다시 옮겼답니다.

모두 29개 비석입니다.

     

9. 시민의 나무는 경상감영공원의 역사성과 대구의 뿌리를 상징하는 기둥형태의 대구 시목인 전나무와 미래를 향해 응비하는 시조 독수리를 조형화 하고, 대구의 자긍심을 지닌 사랑과 화합의 시민상을 조각 하였답니다.

 

10. 하마비는 절도사이하개하마비란 한문으로 새겨져 있는데요.

원래 경상감영의 정문인 관풍루 앞에 있던 것으로 병마절도사 및 수군절도사 이하의 모든 사람은 비가 있는 지점부터는 말에서 내려 출입하라는 표석이랍니다.

병마절도사는 도의 병권을 맡은 책임자로서 보통 종2품인 관찰사가 겸임하였답니다.


11. 잔디광장 주변에는 수백년 된 아름들이 왕벚나무가 심어져 있는데요.

봄에는 벗꽃명소로도 유명합니다.

산책로 주변 여러 벤치에는 어르신들이 한가롭게 휴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12. 이곳에는 벤치방석보관함이 설치되어 있는데요.

"꼭" 돌려주세요란 문구가 적혀 있어서 문을열어 보있습니다.

역시나, 어르신들이 사용한 방석은 잘 정리정돈 보관되어 있었습니다.


13. 이 꽃은 미국산딸나무 꽃입니다.

산딸나무꽃은 대다수가 흰꽃인데요, 붉은색 산딸나무 꽃은 귀한 수종입니다.

우리나라 산딸나무는 흰꽃이며, 미국산딸나무 보다 늦게 꽃이핍니다.

그리도 꽃모양과 열매모양도 다릅니다.


14. 미국신딸나무의 꽃말은 '답례, 나의 마음을 받아 주세요' 입니다.

꽃색은 흰색, 붉은색, 미색등 다양합니다.

봄에는 꽃,여름에는 푸른 잎사귀들의 녹음,가을에는 핏빛처럼 붉은 단풍, 겨울에는 정열적인 주옥의 열매와 아름다운 수피 등 어느 것 하나 버릴 것 없을 정도로 모두 매력 넘치는 수종입니다.


15. 이꽃은 흰색 미국신딸나무인데요.

요즘 많이볼 수 있는 꽃입니다.


16. 미국산딸나무 꽃은 대다수가 흰색꽃입니다.

흰색꽃도 모양이 특이하며 소박하고 아름답습니다.

 

17. 이꽃은 영산홍 이라고 합니다.

꽃말은 '첫사랑' 이고요. 

산철쭉의 개량종으로 4~5월에 붉은 계통이 대부분이고 담홍색,자주색,흰색등 다양한 꽃이핀답니다.

흔히 일본에서 들여와 관상용으로 식재하는 같은 속의 식물을 총칭하는데, 꽃의 색은 붉은 계통이 대부분이지만 노란색이나 흰색도 있고, 꽃잎의 모양도 겹잎인 것, 길게 갈라진 것, 쭈글쭈글한 것 등 아주 다양하답니다.


18. 이열매는 홍매실 인데요.

꽃말은 '고경, 끝내 꽃을 피우다' 입니다.

꽃은 이른 봄(2~4월)에 잎보다 먼저 나와 흰색 또는 연분홍색으로 피는데 향기가 강하며, 잎겨드랑이에 1~2송이씩 달립니다.

열매인 매실은 핵과로, 처음에는 초록색이었다가 7월쯤이면 노란색으로 변하며 매우 신맛이 납니다.


19. 이 열매는 납매열매 인데요, 먹을 수는 없습니다.

꽃말은 '자애' 입니다.

납은 섣달을 의미하며, 섣달에 피는 매화라는 뜻이며 한객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중국에서 도입됐다고 하여 당매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

꽃은 매화류 중에서 가장 빠른 1~2월에 노란 꽃이 핍니다.

납매꽃은 좋은 향기가 난다고 해요.


20. 대구 경상감영지는 조선시대에는 각 도에 관찰사를 파견하여 지방 통치를 맡게 하였답니다.

대구경상감영은 조선후기 경상도를 다스리던 지방관청으로서 관찰사가 기거하던 곳이며, 선조 34년에 설치되었답니다.

대구 경상감영지는  경상감영의 중심건물인 선화당과 징청각이 원위치에 잘 보전 되어 있고 발굴조사 결과 감영지로 확인 되었답니다.

이곳은 조선후기 관아의 격식과 구성을  잘 보여주고 있어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뛰어난 문화유산으로 평가 되고 있답니다.

일제강점기 경상감영 내외로 도로가 만들어 지며 그 영역은 현재의 모습으로 크게 축소 되었지만 오늘날도 역사적 공간으로서 변함없는 가치를 간직하고 있답니다.



*선화당(宣化堂)

문화재지정 :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호

건립시기 : 조선후기

성격 : 관아

유형 : 유적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경상감영길 99 (우)41918 지번 포정동 21

선화당은 각 도의 관찰사 사무 보던 정당이다.

경상감영공원 선화당은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 경상감영공원 안에 있는 조선 후기의 관아이다.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호. 정면 6칸, 측면 4칸의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 조선시대 경상도관찰사의 감영에 설치된 정청(政廳)이다.

기둥 위에 놓인 공포(栱包)는 주심포계(柱心包系)와 익공계(翼工系)를 섞어 쓴 절충식이며, 가구는 2고주 7량가(二高柱七樑架)이다. 경상도 감영은 원래 안동에 있었으나 1601년(선조 34)에 관찰사 김신원(金信元)에 의하여 대구로 옮겨졌다.

그 뒤 1670년(현종 11)·1730년(영조 6)·1806년(순조 6) 등 세 차례에 걸쳐 화재를 입었으며, 지금의 건물은 1807년에 관찰사 윤광안(尹光顔)이 다시 지은 것이다. 1969년까지경상북도 도청사로 사용되어오다가 도청이 옮겨간 다음 1970년 중앙공원(현재 경상감영공원) 조성 때 수리되었다.



*경상감영공원(慶尙監營公園)

경상감영공원은 조선 선조 34년(1601) 경상감영이 있던 장소로서 대구도심 중앙에 위치한다. 1910년부터 1965년까지 경상북도 청사로 사용하였다가 청사가 다른 장소로 이전되고 난 후 대구시에서 1970년 중앙공원으로 최초 개장하였다. 이후 1997년 도시 미관을 해치는 담장을 허물고 공원 전체를 재조성함과 아울러, 대구의 역사와 관련된 문화유산을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 이를 널리 알리고 보존하기 위해 경상감영공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상감영공원은 대구의 중심부에 위치한 도심 속의 정원으로 복잡한 도시생활 속에서 쌓인 피로와 스트레스를 말끔히 해소할 수 있도록 푸른 숲과 아름다운 꽃밭, 잔디광장이 잘 조성되어 있다. 무더위를 잊게 해주는 시원한 분수, 분위기 있는 공원 등과 음악, 그리고 아늑한 산책로와 벤치 등이 마련되어 있는 휴식공간으로서 대구를 찾는 외지인들이 꼭 한번 방문하면 좋은 명소이다.

경상도 관찰사의 집무실인 선화당(유형문화재 제1호)과 처소로 사용한 징청각 (유형문화재 제2호) 그리고 관찰사의 치적이 담긴 선정비(29기) 등 대구의 역사와 관련된 문화유산이 존재한다. 선화당은 현재 남아있는 관아건물이 별로 없다는 점을 생각할 때 큰 가치를 지닌다. 정면 6칸, 측면 4칸의 단층 팔작기와집으로 주심포 양식과 익공식의 절충형 공포를 이루고 있다.

조선시대 경상감영이 있던 곳으로 1970년대에 중앙공원이라는 이름으로 개장되었다가, 1997년에 공원 내 문화재들을 바탕으로 새롭게 재단장 한 뒤 경상감영공원이라는 이름으로 변경했다. 선화당과 징청각 등의 역사 문화재가 보존되어 있다.

공원의 유래는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에 위치한 공원. 조선 선조 때의 경상감영이 있던 곳으로, 지금의 대구광역시 시청 1910년부터 1965년까지 경상북도 청사가 소재하기도 했다. 경상북도청이 이전된 후인1970년 옛 건물들을 중심으로 공원 정문과 분수, 산책로 등을 보완하여 중앙공원이라는 이름으로 최초 개장한 바 있다. 이후 1997년에 경관을 해치는 담장을 허물고 공원 전체를 새로이 재단장했다. 또한 공원 내에 보존되어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 등을 역사 문화 교육의 장소로써 활용하게 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공원 명칭을 중앙공원에서 경상감영공원으로 변경하게 되었다.

공원내 문화재는  선화당(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호)은 관찰사가 집무하던 곳으로 과거 경상감영이 달성에서 대구로 이전될 때 건립되었으며, 화재로 3차례 소실된 것을 계속 증축해왔다. 정면 6칸, 측면 4칸의 단층 팔작기와 집으로 주심포 양식과 익공식의 절충형 공포로 건축되었다. 징청각(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호)은 관찰사의 안채, 즉 내아 관사로, 같은 시기에 지어져 역시 3차례의 화재를 당하면서 명맥을 유지해오다가 초창기 공원을 조성할 때 보수되었다. 그밖에 조국통일을 기원하는 통일의 종이 있다.


  

*대구 "선화당 측우대" 국보로 승격

문화재청,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로 명칭 변경
1770년(영조 46년)에 제작돼 대구 선화당에 설치된 선화당 측우대가 국보로 지정됐다.
문화재청은 최근 기상청이 소유한 대구 선화당 측우대를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라는 명칭으로 바꿔 국보 제330호로 지정했다.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는 현존하는 측우대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이 측우대는 앞쪽과 뒤쪽에 ‘측우대’(測雨臺)라는 글자를 새겼고, 제작 시기를 알려주는‘건륭경인오월조’(乾隆庚寅五月造)라는 문구가 있다. 윗면 길이가 36.7㎝, 폭이 37㎝이며, 가운데 구멍 지름은 15.5㎝이다. 전체 높이는 46㎝다. 이러한 규격은 임진왜란 등을 거치며 시행되지 못한 측우 제도가 영조 대에 부활했음을 증명한다고 문화재청은 설명했다.
출처 : 경북매일



*경상감영(慶尙監營)

위치:대구 중구 경상감영길 99 (포정동)

경상감영(慶尙監營)은 조선의 지방 행정의 8도제하에 경상도(慶尙道)를 관할하던 감영(監營)이다. 현대의 도청(道廳)과 같은 역할을 했다.

조선 초기에는 경주(慶州)에 위치해 있던 것이 상주(尙州), 팔거현, 달성군, 안동부 등지를 옮겨다니다 선조34년(1601년 ), 최종적으로 대구로 이전되어 그곳에 정착하였다. 이후 고종(高宗) 33년(1896년) 갑오개혁으로 지방 행정을 13도제로 개편한 뒤에도 경상북도(慶尙北道)의 중심지였다. 1910년 경상북도 청사로 개칭하였다. 1966년 경북도청을 포정동에서 산격동으로 이전하여 현재에 이른다.

♣개요

조선은 과거 고려가 운영하던 5도 양계라는 복합적 구조의 지방행정체계를 탄력적으로 조정하여, 전국을 8도 체제로 일원화하고 각 도마다 관찰사(觀察使)를 파견한다. 관찰사는 감사(監使)라고도 불리며, 해당 관할지의 행정 및 사법권을 부여받았을 뿐 아니라 병마절도사나 수군절도사도 겸직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군사 지휘권까지 가졌고, 도내의 모든 수령(목민관)과 진관(鎭官)의 장수들은 관찰사의 지휘를 받도록 되어 있었다.

관찰사는 중앙에서 별도로 임명해서 파견하기도 했지만, 예산 절감 등의 이유로 관할 지역을 대표하는 지역의 수령이 겸직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기에, 관찰사를 겸한 수령의 관저가 곧 감영이 되는 셈이었다.

연혁

원래 경상도 지역을 관할하는 감영은 조선 초기에는 경주부에 있었고, 경주를 다스리는 부윤(府尹)이 경상도관찰사 즉 경상감사를 겸했다. 그러던 것이 태종 7년(1407년)에 경상도가 다른 도에 비해 땅이 넓고 인구가 많다는 이유로, 조선 조정은 낙동강을 경계로 서쪽을 우도(右道), 동쪽을 좌도(左道)로 나누어 좌도는 전대로 경주부윤이 맡고 우도는 상주목사가 맡아 해당 도의 관찰사를 겸하게 하였다가, 경상도의 우 · 좌 분도(分道)가 당시 조세 체계의 혼란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자 이듬해 원래대로 환원하고, 대신 경주에 있던 감영을 상주로 옮겨 상주목사가 경상감사를 겸하게 했다.

그러나 중종 14년(1519년), 감사가 맡은 업무가 과중하다는 지적이 들어오면서 종전대로 다시 우 · 좌도를 나누어 상주목사와 경주부윤에게 각각 관찰사를 맡겼다가 12월에 다시 분도로 인한 폐해가 크다는 호소에 따라 원래대로 되돌렸다. 이는 당시 기묘사회의 여파로 인해 그 동향이 심상치 않았던 영남 지역 사림(士林)들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한 정치적 의도가 있었다고 지적되고 있다. 이후로도 상황에 따라 경상도는 나누어졌다가 다시 합쳐지기를 반복했고, 경상감영도 성주(星州)의 속현이었던 팔거현을 거쳐 대구부의 달성, 안동부 등을 전전하게 된다.

경상도의 분도가 되풀이됨에 따라 이곳저곳을 떠돌던 경상감영은 임진왜란이 한창이던 선조 29년( 1596년), 처음으로 대구부에 세워졌다. 좌·우로 나뉜 경상도를 다시 합치는 과정에서 경상도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어 당시 경상도를 점령하다시피 한 왜군이 전라도로 진격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로서 대구가 주목받은 것이었다. 그러나 선조 30년(1597년) 정유재란으로 대구는 왜군의 손에 파괴되고 달성에 있던 감영도 불타버린 뒤, 감영은 다시 내륙으로서 대도호부(大都護府)가 설치되어 있었던 안동으로 옮겼다.

왜란이 끝난 선조 34년(1601년), 안동대도호부가 교통이 불편한 내륙에 있어 위치상 감영으로는 적합하지 않다는 이유를 들어 다시 대구로 옮기자는 이덕형의 건의가 받아들여져, 감영은 대구부로 옮겨지고 대구부사가 경상감사를 겸하게 되었으며 대구부의 실무를 담당할 판관(判官)직이 별도로 신설되었다. 감영이 대구부로 옮겨지면서 감영 운영을 경제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경산.하양.화원이 대구부에 합속되었다. 이때 대구에 새롭게 지어진 경상감영의 부지가 바로 대구 중구 포정동에 소재한 현재 경상감영공원으로 조성된 선화당(宣化堂) 일대에 해당하는 곳이었다. 선조 40년(1607년) 경상도를 비롯하여 충청(忠靑).전라도(全羅道) 등지의 예산 절감을 이유로 감영 제도가 일시 폐지되면서 대구부는 다시 이전으로 환원되었지만(이때 대구부에 합쳐졌던 현들도 모두 원래대로 독립) 이러한 조치는 감영의 이름을 없애고 그 예산을 삭감한 데에 지나지 않았고, 그 뒤에도 경상도의 각종 업무는 계속해서 대구부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대구의 주변 고을에 대한 영향력은 이미 감영이 설치되기 전부터 길러온 것이었다. 신라 이래로 조선 왕조가 개창될 때까지 지방행정의 말단체계로 종5품 지방관이 파견되는 현(縣)으로 존재하며 인근 군과 부에 소속된 처지였던 대구현은 조선의 개창 이후, 태조 3년(1394년) 쇠약해진 수성현을 합치고 태종 14년(1414년)에는 해안현과 하빈현까지 각각 합속하여 그 영역이 늘어났는데, 이때 합쳐진 3개 현은 따로 수령이 파견되지 않는 직속현으로서 대구현의 실질적인 영역으로 간주되었다. 달성평야를 비롯한 수성평야,해안평야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을 기반으로 대구현은 경제 성장을 이룩했고, 상업의 발달과 함께 세종 원년(1419년)에는 상주하는 인구 호수도 1,300호로 불어나면서 종4품 지군사(知郡事), 즉 군수(郡守)가 파견되는 대구군으로 승격되었다.

지방통치에 있어 대구군이 가진 사회적, 경제적 중요성에 대한 조정의 관심도 더욱 커져서 세종 30년(1448년)에는 사창(社倉) 제도를 전국에서는 처음으로 대구군에서 시범실시하게 하는가 하면, 세조 원년(1455년)에 전국의 내륙지방에 군사기지인 거진(巨鎭)이 설치되고 거진을 중심으로 인근 고을을 중.좌.우익으로 나누어 편재한다는 지방 군사조직의 정비 과정에서 대구를 포함한 인근 고을들은 대구도(大邱道)에 편제되었고, 2년 뒤에는 군사적 개념의 진(鎭)의 정비를 골격으로 한 진관체제가 확립되면서 대구에 대구진이 설치되어 청도.경산.신령.하양.현풍.창녕.의흥.인동.영산의 군사를 지휘하는 위치에 이르렀고, 이는 대구가 정치뿐 아니라 사회,경제,군사 모든 면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며 급속하게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주었다. 세조 12년(1466년)에 대구는 이미 종3품의 도호부사가 파견되는 대구도호부 로서 존재하고 있었다.현종 10년(1669년) 감사의 임기를 2년으로 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감영제도가 복구되면서 대구부는 다시 감영으로 원상회복되었다. 나아가 숙종 11년(1685년) 성주에 속해 있던 화원의 8개 방(坊)과 밀양 소속의 풍각(豊角) 4개 면이 대구에 더 합쳐졌다.

갑오개혁으로 8도제가 폐지되고 전국을 23부로 나누는 지방행정 개편이 이루어질 때까지 대구는 명실상부한 감영(도청) 소재지로서 경상도의 중심지로서 그 위치를 유지했다.

구조

경상감영은 대구부성,즉흡성(邑城) 안에 설치되었다. 성내에는 관찰사가 경상도 전체의 행정과 사법 그리고 수.륙 양군의 지휘권을 맡아보는 감영과 대구부 한 고을만의 부사(감사가 부사를 겸하는 경우에는 판관)로서 대구부 행정과 사법 업무를 보는 부아(府衙)는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었다. 대구진관 내의 군사 행정과 훈련을 맡은 영장(營將)의 집무실인 진영(鎭營)과 객사(客舍) 등도 있었는데 여기에는 이들을 도와 실무를 전담할 아전을 비롯한 군교(軍校), 잡무를 맡아보는 사령(使令), 나장(羅將), 잔심부름 등 궂은 일을 도맡는 관노비들이 있었다. 이들이 조선 후기 경상도를 대표하는 행정도시가 될 대구부성을 구성하는 구성원들이었다. 그리고 읍성 주위에는 관에서 근무하는 향리를 비롯해 상공인 및 관노비, 중인 계층과 평민, 천민들의 주거지가 주로 형성되어, 각종 상업활동에 종사하였다.

사적 지정사유

대구 경상감영지는 대구 경상감영의 건물인 선화당과 징청각이 원위치에 보존되어 있고 발굴조사 결과 감영지가 확인됨에 따라 조선시대 임진왜란 이후 8도의 관아 구성을 보여주는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뛰어난 유적이다.

경상감영공원

경상감영 부지는 19666년에 경상북도 청사가 산격동으로 이전한 후, 1970년에 중앙공원으로 조성되었으며, 1999년 경상감영공원으로 명칭이 개칭되었다. 대부분 노인들이 쉬어가는 공원으로 알려져있어서 현지에서는 '대구 탑골공원' 이라고도 불린다.

선화당

선화당은 관찰사가 공무를 보던 곳으로 1730년 두 차례의 화재를 입었고, 지금의 건물은 순조 7년(1807년) 재건된 것이다. 1982년 3월4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었다.

징청각(澄淸閣)

징청각은 선화당과 함께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이 건물은 1730년 두 차례의 화재를 입었으며, 지금의 건물은 정조 13년(1789년)에 새로 지은 것이다. 징청각은 선화당 뒤쪽 왼편에 위치하고 있다. 선화당과 함께 대구유형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어 있다.

통일의 종

조국 통일을 기원하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달구벌대종이 만들어지기 전까지 제야의 종 타종식을 거행했었다.

관풍루(觀風樓)

대구문화재자료 3호. 경상감영의 정문으로 1601년(선조 34)에 건축된, 정면 2칸, 측면 2칸의 중층누각 겹처마 팔작지붕건물이다.

현재 달성공원 북쪽에 옮겨 세워져 있는데 1906년 당시 관찰사 박중양(朴重陽)이 대구읍성 철거할 때 건물만 옮긴 것이다.




*보시고 아래모양에 공감 버튼을 ~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