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여행

[대구여행] 사적423호 경북대학교병원에 감탄사가 절로나오는 꽃길 영산홍,꽃,효능,철쭉 영산홍 진달래의 차이점.

SMALL

*대구광역시 중구 동덕로 130 경북대학교병원 감탄사가 절로나오는 철쭉류 영산홍꽃 붉게 불타는 산책로를 걸으며 가는봄 잡아 보세요!

♣꽃말은 '첫사랑' 입니다. 

 

 

 

1. 사적423호 경북대학교병원은 담장허물기사업 일환으로  담장을 허물고 그자리에 영산홍 꽃동산을 조성 하였습니다.

대구시에서 제일 아름다운 영산홍 꽃길 명소가 탄생했습니다.

 

2. 영산홍 붉게 핀 언덕기슭에 가신님 불러도 대답은 없고 세월만 무심히 흘러가더라.애타는 내 마음 임은 알리없건만 영산홍 붉은 꽃잎 하도 고와서 가신님 그리워 눈물 뿌렸소.영산홍 곱게 핀 언덕기슭에 가신님 불러도 대답은 없고 석양의 노을빛만 검게 타더라.애타는 내 가슴 임은 알리없건만 영산홍 붉은 꽃잎 하도 예뻐서 가는 봄 잡고서 혼자 울었소.

 

3. 흔히 진달래과 같은 원예품종 중 붉은 꽃들을 이른다.

흔히 일본에서 들여와 관상용으로 식재하는 같은 속의 식물을 총칭하는데, 꽃의 색은 붉은 계통이 대부분이지만 노란색이나 흰색도 있고, 꽃잎의 모양도 겹잎인 것, 길게 갈라진 것, 쭈글쭈글한 것 등 아주 다양하다.

 

4. 붉은색 영산홍 꽃:

일본에서 자라는 철쭉의 한 종류인 사쓰끼철쭉(サツキツツジ)을 기본종으로 하여 개량한 철쭉의 원예품종 전체를 일컬어 우리나라와 중국에서는 ‘영산홍(映山紅)’이라고 한다. 일본에서는 영산홍이란 이름을 거의 쓰지 않는다.

 

5. 붉은색 영산홍 꽃:

영산홍의 대표적인 품종으로는 기리시마철쭉, 구루메철쭉 등이 있으나 서로 교배하고 육종한 것이 수백 종이 넘어 일일이 특징을 말하기도 어렵고, 너무 복잡하여 다 알 수도 없다. 따라서 영산홍이란 사쓰끼철쭉을 대표 종으로 ‘품종 개량한 일본 산철쭉 무리’ 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6.붉은색 영산홍 꽃:

일본인들은 《만엽집》에 산철쭉이 등장할 만큼 오래전부터 심고 가꾸어 온 전통 꽃나무다. 오랫동안 산철쭉으로만 알아오다가 에도시대(1603~1867)에 오면서 비로소 산철쭉과 사쓰끼철쭉을 따로 구분하여, ‘5월의 철쭉’이란 이름으로 사쓰끼철쭉을 표기하기 시작했다. 이는 에도시대 훨씬 이전부터 따로 품종개량하여 자기들이 좋아하는 꽃으로 만들고 있었음을 알 수 있는 증거다.

 

7. 붉은색 영산홍 꽃:

어디까지나 일본인들의 꽃이었던 이 꽃나무는 강희안의 《양화소록》에서 보다 상세한 전래 기록을 찾을 수 있다. “세종 23년(1441) 봄, 일본에서 일본철쭉 두어 분을 조공으로 보내왔다. 대궐 안에 심어두고 보았는데, 꽃이 무척 아름다웠다. 일본철쭉은 중국의 최고 미인 서시(西施)와 같고, 다른 철쭉은 못생긴 여자의 대표인 모모(嫫母)와 같다”라고 하여 일본에서 보내온 꽃의 아름다움을 강조했다. 여기서 일본철쭉은 사쓰끼철쭉으로 짐작된다.

 

8. 붉은색 영산홍 꽃:

조선 초에 들어온 사쓰끼철쭉은 일본철쭉, 혹은 영산홍이란 이름으로 왕조실록과 선비들의 문집에 등장한다. 영산홍을 가장 좋아한 임금은 연산군이다. 연산 11년(1505)에 영산홍 1만 그루를 후원에 심으라 하고, 움막을 만들어 추위에 말라 죽는 일이 없도록 하였으며, 다음해에는 키운 숫자를 보고하도록 했다. 《지봉유설》에도 영산홍이 나오며, 《산림경제》에도 왜철쭉으로 기록되어 있다.

 

9. 붉은색 영산홍 꽃:

사쓰끼철쭉의 접두어는 음력 5월을 뜻하는 ‘고월(皐月)’에서 유래되었고, 꽃 피는 시기가 철쭉보다 더 늦은데, 거의 초여름에 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그러나 도시에 심은 영산홍은 이보다 훨씬 빠른 양력 4월 말이나 5월 초부터 꽃이 피기 시작한다. 또 영산홍의 일부는 오래전에 들어온 원종 사쓰끼와 우리나라 산철쭉이 교배되어 생긴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꽃이 붉은 것은 영산홍, 보라색인 것은 자산홍(紫山紅)이라 부르기도 한다.

 

10. 붉은색 영산홍 꽃:

영산홍은 꽃, 잎, 생김새까지 우리나라 산철쭉과 거의 비슷하다. 산철쭉보다 키가 작고 잎도 작으나 가장 큰 차이점은 영산홍은 상록이거나 반상록인 반면 산철쭉은 완전한 갈잎나무다.

그러나 사쓰끼철쭉, 기리시마철쭉, 우리나라 및 일본 산철쭉 등 수많은 철쭉 무리들이 교배되어 서로의 형질이 뒤섞여 있다. 그래서 영산홍을 명확히 구분하기는 어렵다.

 

11. 붉은색 영산홍 꽃:

효능 맛이 쓰고 독이 별로 없고. 줄기와 잎에는 플라보노이드, 탄닌, 정유 등의 성분이 들어 있다.영산홍 꽃에는 노도톡키신이라는 성분이 있어, 가래를 없애주고 기침을 가라앉히며 피부의 발진, 두드러기, 소변이 잘 안 나오는 증상, 음식물을 토하려는 증상과 탈모증, 고혈압에도 쓰인다고 한다.

 

 

 

25. 분홍색 영산홍 꽃:

 

46. 자주색 영산홍 꽃:

 

40. 백철쭉 꽃:

 

62. 백철쭉 꽃

 

 

*영산홍(映山紅)

1.꽃말:첫사랑

2.분류:진달래과(낙엽관목)

3.학명:Rhododendron indicum

4.분포:아시아

4.크기:약 15cm~90cm

5.꽃:4~5월에 붉은 계통이 대부분이고 담홍색,자주색,흰색등 다양한 꽃이핀다.6.설명:흔히 진달래(R. mucronulatum)나 철쭉(R. schlippenbachii)과 같은 원예품종 중 붉은 꽃들을 이른다. 흔히 일본에서 들여와 관상용으로 식재하는 같은 속(屬)의 식물을 총칭하는데, 꽃의 색은 붉은 계통이 대부분이지만 노란색이나 흰색도 있고, 꽃잎의 모양도 겹잎인 것, 길게 갈라진 것, 쭈글쭈글한 것 등 아주 다양하다.
일본에서 자라는 철쭉의 한 종류인 사쓰끼철쭉(サツキツツジ)을 기본종으로 하여 개량한 철쭉의 원예품종 전체를 일컬어 우리나라와 중국에서는 ‘영산홍(映山紅)’이라고 한다. 일본에서는 영산홍이란 이름을 거의 쓰지 않는다.
영산홍의 대표적인 품종으로는 기리시마철쭉, 구루메철쭉 등이 있으나 서로 교배하고 육종한 것이 수백 종이 넘어 일일이 특징을 말하기도 어렵고, 너무 복잡하여 다 알 수도 없다. 따라서 영산홍이란 사쓰끼철쭉을 대표 종으로 ‘품종 개량한 일본 산철쭉 무리’ 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일본인들은 《만엽집》에 산철쭉이 등장할 만큼 오래전부터 심고 가꾸어 온 전통 꽃나무다. 오랫동안 산철쭉으로만 알아오다가 에도시대(1603~1867)에 오면서 비로소 산철쭉과 사쓰끼철쭉을 따로 구분하여, ‘5월의 철쭉’이란 이름으로 사쓰끼철쭉을 표기하기 시작했다. 이는 에도시대 훨씬 이전부터 따로 품종개량하여 자기들이 좋아하는 꽃으로 만들고 있었음을 알 수 있는 증거다.
어디까지나 일본인들의 꽃이었던 이 꽃나무는 강희안의 《양화소록》에서 보다 상세한 전래 기록을 찾을 수 있다. “세종 23년(1441) 봄, 일본에서 일본철쭉 두어 분을 조공으로 보내왔다. 대궐 안에 심어두고 보았는데, 꽃이 무척 아름다웠다. 일본철쭉은 중국의 최고 미인 서시(西施)와 같고, 다른 철쭉은 못생긴 여자의 대표인 모모(嫫母)와 같다”라고 하여 일본에서 보내온 꽃의 아름다움을 강조했다. 여기서 일본철쭉은 사쓰끼철쭉으로 짐작된다.
조선 초에 들어온 사쓰끼철쭉은 일본철쭉, 혹은 영산홍이란 이름으로 왕조실록과 선비들의 문집에 등장한다. 영산홍을 가장 좋아한 임금은 연산군이다. 연산 11년(1505)에 영산홍 1만 그루를 후원에 심으라 하고, 움막을 만들어 추위에 말라 죽는 일이 없도록 하였으며, 다음해에는 키운 숫자를 보고하도록 했다. 《지봉유설》에도 영산홍이 나오며, 《산림경제》에도 왜철쭉으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 중후기로 오면서 영산홍은 선비들도 즐기는 꽃으로 널리 퍼져 나갔다.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들어온 것은 일제강점기와 광복 이후다. 지금은 각종 정원수 중에 가장 많이 심고 있으며, 조선의 궁궐과 이순신 장군의 사당이 있는 제승당까지 아니 계신 곳이 없다.
아주 예부터 사쓰끼철쭉는 일본 각지의 산지 개울 옆 바위에 붙어 자랐다. 줄기는 여럿으로 갈라져 기어가듯이 뻗는 성질이 강하다. 잎은 두껍고 단단하며, 상록이나 좀 추운 곳에서는 잎이 완전히 떨어지지 않는 반(半)상록이 된다. 홍수가 질 때 물이 넘어가기 쉽게 낮은 키와 튼튼한 뿌리를 뻗는다. 계단식 논두렁의 돌담 틈에서 우리나라 좀깨잎나무처럼 붙어 자라기도 하며, 대체로 무리를 이룬다. 꽃은 깔때기 모양으로 위쪽이 다섯 개로 갈라져 있고, 붉은색이 기본이나 개량하면서 분홍색, 흰색 등 여러 색이 있다.
사쓰끼철쭉의 접두어는 음력 5월을 뜻하는 ‘고월(皐月)’에서 유래되었고, 꽃 피는 시기가 철쭉보다 더 늦은데, 거의 초여름에 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그러나 도시에 심은 영산홍은 이보다 훨씬 빠른 양력 4월 말이나 5월 초부터 꽃이 피기 시작한다. 또 영산홍의 일부는 오래전에 들어온 원종 사쓰끼와 우리나라 산철쭉이 교배되어 생긴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꽃이 붉은 것은 영산홍, 보라색인 것은 자산홍(紫山紅)이라 부르기도 한다.
영산홍은 꽃, 잎, 생김새까지 우리나라 산철쭉과 거의 비슷하다. 산철쭉보다 키가 작고 잎도 작으나 가장 큰 차이점은 영산홍은 상록이거나 반상록인 반면 산철쭉은 완전한 갈잎나무다.
그러나 사쓰끼철쭉, 기리시마철쭉, 우리나라 및 일본 산철쭉 등 수많은 철쭉 무리들이 교배되어 서로의 형질이 뒤섞여 있다. 그래서 영산홍을 명확히 구분하기는 어렵다.
효능 맛이 쓰고 독이 별로 없고. 줄기와 잎에는 플라보노이드, 탄닌, 정유 등의 성분이 들어 있다.영산홍 꽃에는 노도톡키신이라는 성분이 있어, 가래를 없애주고 기침을 가라앉히며 피부의 발진, 두드러기, 소변이 잘 안 나오는 증상, 음식물을 토하려는 증상과 탈모증, 고혈압에도 쓰인다고 한다.  

 

 

 *철쭉과 영산홍 진달래의 차이점

 

산철쭉 연달래(철쭉)

 

진달래와 꽃이나 잎이 흡사하여 자주 혼동을 일으키는 이 꽃은 진달래가 피고나서 연이어 핀다고 하여 '연달래'라는 예쁜 이름이 붙었다.연달래(철쭉)는 잎과 꽃이 함께 나며 꽃잎에 독성이 있다. 그래서 먹을 수 있는 진달래는 '참꽃'독이 있어 먹지 못하는 철쭉은 '개꽃'이라 한다*철쭉철쭉은 한국 원산의 진달래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이다. 한국·중국·일본 등에 분포한다. 걸음을 머뭇거리게 한다는 뜻의 ‘척촉(擲燭)’이 변해서 된 이름이다. 

 

꽃이 너무 아름다워 지나가던 나그네의 걸음을 자꾸 멈추게 한다는 철쭉,

 신라시대 향가에 철쭉에 얽힌 설화가 전한다.

 

 

*수로부인(水路夫人)과 헌화가(獻花歌)-삼국유사
 신라 성덕왕 27년경에 순정공(純貞公)이 강릉태수로 부임할 때 바닷가에서 점심을 먹었다. 그 곁에 
바위의 봉우리가 둘러서서 바다를 굽어보고 있는데, 높이는 천 길이나 되어보였고 그 벼랑에는 철쭉꽃이 활짝 피어 있었다. 순정공의 부인 수로(水路)는 이것을 보고 너무나 아름다움에 겨워 말했다.
"누가 저 꽃을 꺾어다 주겠소?" 사람들은 감히 엄두를 낼 수가 없었다.
"그곳은 사람의 발길이 이르지 못하는 험한 곳입니다. 너무 위태로워 감히 내려갈 수가 없습니다."
"아― 누가 저 꽃을 꺾어 주면 좋으련만……."

그때 암소 한 마리를 끌고 지나가던 노옹이 부인의 탄식을 듣고 발길을 멈추었다.

수로부인의 모습은 벼랑에 핀 철쭉꽃보다도 더 아름다웠다. 철쭉이 벼랑에 있어 꺾으려면

목숨을 걸어야 하듯, 철쭉 보다 더 아름다운 여인의 마음을 꺾으려면 아예 생명을 내놓아야 할 지경이었다. 노옹이 수로부인에게 시를 지어 읊었다.
 진붉은 벼랑 아래,
암소 잡은 손을 놓게 하시고
나를 아니 부끄러워하신다면
꽃을 꺾어 받자오리다.
 노옹은 헌화가(獻花歌)를 짓고 벼랑의 꽃을 꺾어다가 수로부인에게 주었다. 
수로는 그 꽃을 가슴에 안고 좋아라 했다. 마음과 마음을 통해 꽃을 꺾고 그 꽃을 바쳤다. 이심전심(以心傳心)의 통정이 이루어진 셈이었다. 이틀을 더 걸어 가다가 임해정(臨海亭)에 이르러 점심을 먹고 있었는데, 바다의 용이 부인을 보고 반하여 바람처럼 나타나 부인을 끌고 바닷속으로 사라져 버렸다.순정공은 바닥에 넘어져 주저앉았으나 아무런 계책이 없었다. 앞뒤가 캄캄하고 천지가 무너졌건만 묘책이 없었다.
그때 또 한 노옹이 나타나서 말했다.
"옛말에 뭇사람의 말은 쇠 같은 물건도 녹인다고 했으니, 바닷속의 용인들 어찌 뭇사람의 입을 두려워하지
 않겠습니까? 빨리 고을 사람들을 모아야 합니다. 노래를 지어 부르고 막대기로 언덕을 치면 부인을 다시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순정공은 노인 말대로 사람을 모아 막대기로 둑을 내리치며 노래를 외치게 했다.
이것이 바로 향가의 하나로 유명한 해가(海歌)이다.
 해신(海神)아! 해신아! 수로를 내놓아라.
남의 부인을 앗아간 죄, 그 얼마나 크랴.
네 만약 거슬러 내놓지 않으면
그물로 너를 잡아 구어 먹으리라.
 해가는 곧 민중의 소리였다. 순정공 한 사람의 한탄이 아니라 
온 고을 사람들의 분노의 소리였다. 용이 제아무리 변화무쌍한들 무리의 여론을 견딜 수는 없었다. 그래서 하는 수 없이 수로부인을 돌려보내 주었다.
"부인! 그곳은 도대체 어떠했소이까?"
"일곱 가지 보물로 장식한 궁전인데 음식은 달고 향기로웠으며 모두 불에 익혀
부드러웠습니다. 아무리 생각해 보아도 인간세상의 음식은 아니었습니다."
수로부인의 옷에서는 이상한 향기가 풍겼는데, 세간(世間)에서는 맡아 보지 못한 특이한 것이었다. 
수로는 용궁에 붙들려가서 세상에서는 보지도 먹어 보지도 못한 별미를 맛보았다. 푹 익어 보드랍기만한 음식이 온몸에 배여 그 향기가 풍겨날 정도였다. 온몸으로 먹은 푹 익은 음식의 맛이란 무엇일까?위 내용은 삼척 임원항에 수로부인헌화공원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진달래 

 

진달래 진달래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이다.

한국, 일본, 몽골 북부 우수리 등지에 분포한다.

꽃을 먹을 수 있고 약에도 쓸 수 있어서 참꽃이라고도 부른다. 꽃 색깔이 붉은 것이두견새가 밤새 울어대어 피를 토한 것이라는 전설 때문에 두견화(杜鵑花)라고도 한다.꽃이 아름다워서 관상용으로 심기도 하며, 꽃으로 삼월 삼짇날 무렵에 화전(花煎)을 만들어 먹거나

 또는 진달래술(두견주)을 담그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꽃잎이 조경(調經)·활혈(活血)·진해(鎭咳)의 효능이 있다 하여

혈압강하제·토혈 등에 쓰며,

월경불순·폐경·해소·고혈압 등의 증상에 유효하다고 한다. 민간에서는 꽃잎을 꿀에 재어 천식에 먹는다.

생약으로는 꽃 또는 잎을 쓰며 산정촉(山鄭蠾)이라 한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뇨제로서 류머티즘, 통풍 등에 쓴다.

신윤복은 혜원풍속도첩(蕙園風俗圖帖)에 봄의 정경을 많이 담았는데,

특히 진달래를 자주 등장시켰다.      - 위키백과 -

 

 

 

 

*영산홍(산철쭉의 개량종) 

*영산홍(映山紅)

철쭉과의 상록 관목. 잎은 피침 모양으로 끝이 둔하고 수술이 다섯 개이며, 꽃밥은 어두운 자색이다.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왜철쭉. (Rhododendron indicum) 

영산홍은 일본에서 들어온 철죽꽃의 한종류로 쌍떡잎식물 진달래목 진달래과의 상록관목으로 원산지가 일본으로  왜철쭉이라고 한다.

영산홍은 고려때부터 순수 우리 나라 꽃으로, 꽃나무의 키가 2~3m 까지 자라며 꽃이 한봉오리에 많은 꽃이 달려서 매우 화려하여 왜정때 일본으로 건너가 키가 작게 개량 시켜 '베니'라는 이름을 붙혀 우리나라에 들어오게 되여 조경용으로 재배를 하고 있다.

철쭉(학명 : Rhododendron)에는 상당히 종류가 많다.  영산홍(靈山紅) 역시 철쭉과에 속한다.

철쭉 류 에는 중국이 원산지이며 순백색 꽃이 피는 백철쭉이 있는가 하면, 일본이 원산지이며, 일본사람들이 고월(皐月)이라 이름 붙여 사쓰기로 통용되는 왜철쭉이 있다.

최근 우리나라 정원에 많이 심어지고 있는 개량종 등은 원종과는 별개의 종으로 볼 수가 있으며, 영산홍이라 부르는 산철쭉의 학명 또한 우리가 일반적으로 철쭉이라 부르는 철쭉과는 구분이 되고 있다.

즉 우리가 철쭉이라 부르는 흰색 또는 연한 분홍 빛 철쭉은 우리나라 동해안에 피어있는 것을 처음 발견하고 유럽 등지에 전파함으로서 그 사람의 이름을 따서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로 분류되며, 붉은색의 산철쭉은 Rhododendron  yedoeuse Maxpoukha-Ry 로 분류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구 도립대구병원(舊 道立大邱病院), 경북대학교벙원. 

사적 제443호(2003.1.28.)

소재지 : 대구 중구 삼덕동 2가 50

도립대구병원(현 경북대학교병원 본관)은 일제 강점기 때 1928년 도립 대구의원으로 지은 2층의 붉은 벽돌(조적조) 건물이다.

 

이 건물은 구 대구의학전문학교 본관(사적 제442호, 현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본관)건물과 마주보며 배치되어 있다. 건물은 북향하여 동서로 길게 배치되었으며 지붕은 모임지붕 형태로 기와를 이었다. 평면은 ‘ㄱ’자 모양으로 중복도(中複道)의 양측에 각 실(室)을 남향과 북향으로 배치하였으며, 정면 우측의 익사(翼舍)에는 편복도를 설치하고 동향으로 실을 배치하였다.

 

건물 구성은 정면 중앙부의 현관 포치(Porch)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고 창인방과 처마부를 화강석 수평돌림띠(Cornice)로 장식하여 르네상스적 분위기를 느끼게 한다.

 

건물의 외관구성에 나타난 특징은 네모반듯한 지붕을 이은 사각탑(Turret), 수직으로 긴 반원 아치(Arch)창, 페디먼트(Pediment), 지붕면의 도머(Domer)창, 난간벽의 치형(齒形) 장식수법, 화강석 다듬돌로 구성한 수평돌림띠(Cornice) 등의 형태요소들을 적극적으로 채용하여 정면성과 대칭성을 강조하고 있다.

 

한국 근대 병원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건물로, 우측 익사가 철거되고, 정면 좌측에 증축된 부분이 있으나, 전체적으로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어 역사적·건축사적으로 높은 가치가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출처 : 문화재청

 

 

*사적423호 경북대학교병원.

 대구광역시 중구 동덕로 130 (삼덕동2가) 대구광역시북구 호국로 807 (학정동) 소재 거점 국립대학병원.
1907년 관립 대구 동인의원이 그 모체이다. 동창회 등에서 이견이 있으나, 의과대학 및 병원의 공식 입장으로는 동인의원을 모체로 인정한다. 이후 관립자혜의원, 경상북도립 대구의원, 대구의과대학 부속병원을 거쳐 1952년 경북대학교 개교와 함께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이 되었다.
1988년 경북대학교병원으로 개칭되었고, 1994년 국립대학교병원설치법에 따라 경북대학교로부터 분리된 특수법인으로 바뀌어 교육부 산하 공공기관이 되었다. 경북대학교 총장이 당연직 이사장으로 취임한다.
일반적으로 경북대학교병원이라 하면 중구 삼덕동에 있는 본원을 지칭하지만, 본원 및 칠곡경북대학교병원과 여러 센터를 포괄하는 법인명이기도 하다. 경북대학교치과병원도 경북대학교병원에 속해있었으나 2016년 6월 1일 별도 법인으로 분리되면서 현재는 별개의 기관이다.
대구.경북권을 대표하는 최고병원이다. 본원과 칠곡 분원 전부 상급종합병원으로 주요 부문에서 수도권 대형병원에 뒤지지 않는 실력을 자랑한다. 지역민들도 특정한 부문을 잘하는 곳을 따로 찾아가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곳에서 치료받는 것을 가장 선호할 정도다. 경북대학교가 대구 경북권의 국립대학이자 최고수준으로 인정받는 상태가 계속되는 이상 앞으로도 별 다른 사건사고가 없다면 그럴 것이다.
대구에서는 줄여서 '경대병원'이라 부르며, 영남대학교병원(줄여서 영대병원)과 함께 대구에서 '대학병원'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병원 중 하나이다. 그밖에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은 동산병원,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은 가톨릭병원으로 불린다.

본원은 대구광역시 중구 동덕로 130에 위치한 병원으로 대구 도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쪽 도로 하나 건너 동인동에 경북대학교 의과대학과 간호대학이 자리잡고 있다.
일반적으로 경북대병원을 지칭하면 이곳을 가르키며 965병상 규모에 대구권역응급의료센터, 심혈관센터, 외상센터 등을 가진 대구경북지역 최대의 병원이다.

병원 본관 건물은 1930년대에 건립되었고 사적 제443호로 지정되었다. 덕분에 영화 및 드라마 촬영의 배경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물론, 그렇기에 병원 확장에 애로사항이 큰 편이다. 그 때문에 의과대학과 간호대학을 칠곡경북대병원이 위치한 북구로 이전하고 병원 확장 계획도 있다.
인근에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중앙도서관,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경대병원역, 중구청 등이 자리잡고 있다.

 

 

*사적목록

 

번호 명칭 소재지
1 경주포석정지(慶州鮑石亭址) 경북 경주시 배동 454-3
2 김해회현리패총(金海會峴里貝塚) 경남 김해시 봉황동 253
3 화성(華城)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연무동 190
4 부여성흥산성(扶餘聖興山城) 충남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 산1-1
5 부여부소산성(扶餘扶蘇山城) 충남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산4
6 황룡사지(皇龍寺址) 경북 경주시 구황동 320-1
7 망덕사지(望德寺址) 경북 경주시 배반동 956
8 사천왕사지(四天王寺址) 경북 경주시 배반동 935-2
10 서울성곽(서울城郭) 서울 종로구 누상동 산1-3 외
11 광주풍납리토성(廣州風納里土城) 서울 송파구 풍납동 72-1외
12 공주공산성(公州公山城) 충남 공주시 산성동 2
13 공주송산리고분군(公州宋山里古墳群) 충남 공주시 금성동 산5-1
14 부여능산리고분군(扶餘陵山里古墳群) 충남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15
15 경주흥륜사지(慶州興輪寺址) 경북 경주시 사정동 281-1
16 경주월성(慶州月城) 경북 경주시 인왕동 387-1
17 경주남고루(慶州南古壘) 경북 경주시 황오동 21-1외
18 경주임해전지(慶州臨海殿址) 경북 경주시 인왕동 26
19 경주계림(慶州鷄林) 경북 경주시 교동 1
20 신라무열왕릉(新羅武烈王陵) 경북 경주시 서악동 842
21 김유신묘(金庾信墓) 경북 경주시 충효동 산7-1
22 경주남산성(慶州南山城) 경북 경주시 인왕동·배동·탑동·남산동·배반동
23 신라경덕왕릉(新羅景德王陵) 경북 경주시 내남면 부지리 산8
24 신라진덕여왕릉(新羅眞德女王陵) 경북 경주시 현곡면 오류리 산48
25 경주부산성(慶州富山城) 경북 경주시 건천읍 송선리 산195
26 경주괘릉(慶州掛陵) 경북 경주시 외동읍 괘릉리 산17
27 경주구정리방형분(慶州九政里方形墳) 경북 경주시 구정동 산41
28 성덕왕릉(聖德王陵) 경북 경주시 조양동 산8
29 신라헌덕왕릉(新羅憲德王陵) 경북 경주시 동천동 80
30 신라흥덕왕릉(新羅興德王陵) 경북 경주시 안강읍 육통리 산42
31 경주감은사지(慶州感恩寺址) 경북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 55-1
32 독립문(獨立門) 서울 서대문구 현저동 941
33 영은문주초(迎恩門柱礎) 서울 서대문구 현저동 945
34 부여청마산성(扶餘靑馬山城) 충남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산1-1
37 오대산사고지(五臺山史庫址) 강원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산1
38 경주노동리고분군(慶州路東里古墳群) 경북 경주시 노동동 261
39 경주노서리고분군(慶州路西里古墳群) 경북 경주시 노서동 104
40 미추왕릉지구고분군(味鄒王陵地區古墳群) 경북 경주시 황남동 6-1
41 경주황오리고분군(慶州皇吾里古墳群) 경북 경주시 황오동 102-3
42 경주인왕리고분군(慶州仁旺里古墳群) 경북 경주시 인왕동 669-1
43 경주금척리고분군(慶州金尺里古墳群) 경북 경주시 건천읍 금척리 192-1
44 부여군수리사지(扶餘軍守里寺址) 충남 부여군 부여읍 군수리 19
45 경주장항리사지(慶州獐項里寺址) 경북 경주시 양북면 장항리 1081
46 경주원원사지(慶州遠願寺址) 경북 경주시 외동읍 모화리 2
47 명활산성(明活山城) 경북 경주시 천군동·보문동
48 관문성(關門城) 경북 경주시 외동읍 모화리 산122, 울산 북구 달천동, 중산동, 천곡동 및 울주군 범서면 두산리
55 소수서원(紹修書院) 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151
56 행주산성(幸州山城)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내동 산26
57 남한산성(南漢山城)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산성리 산1
58 부여나성(扶餘羅城) 충남 부여군 부여읍 염창리 565
59 부여청산성(扶餘靑山城) 충남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6
60 건지산성(乾芝山城) 충남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 산3
61 고령주산성(高靈主山城) 경북 고령군 고령읍 중화리 산3외
62 대구달성(大邱達城) 대구 중구 달성동 294-1
64 화왕산성(火旺山城) 경남 창녕군 창녕읍 옥천리 산322
65 목마산성(牧馬山城) 경남 창녕군 창녕읍 송현리 산5-2
66 분산성(盆山城) 경남 김해시 어방동 산9
67 함안성산산성(咸安城山山城) 경남 함안군 함안읍 괴산리, 가야읍 광정리 569
68 강진요지(康津窯址) 전남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산4외(용운리, 계율리, 수동리)
69 부안유천리도요지(扶安柳川里陶窯址) 전북 부안군 보안면 유천리 14
70 부안진서리도요지(扶安鎭西里陶窯址) 전북 부안군 산내면 진서리 56
71 성산사부동도요지(星山沙鳧洞陶窯址) 경북 고령군 성산면 사부동 산16
72 성산기산동도요지(星山箕山洞陶窯址) 경북 고령군 성산면 기산동 산81
73 수로왕릉(首露王陵) 경남 김해시 서상동 312
74 수로왕비릉(首露王妃陵) 경남 김해시 구산동 120
75 김해구산동고분군(金海龜山洞古墳群) 경남 김해시 구산동 120
76 나주대안리고분군(羅州大安里古墳群) 전남 나주시 반남면 대안리 103
77 나주신촌리고분군(羅州新村里古墳群) 전남 나주시 반남면 신촌리 산41
78 나주덕산리고분군(羅州德山里古墳群) 전남 나주시 반남면 덕산리 473
79 고령지산동고분군(高靈池山洞古墳群) 경북 고령군 고령읍 지산리 산8
80 창녕교동고분군(昌寧校洞古墳群) 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리 129
81 창녕송현동고분군(昌寧松峴洞古墳群) 경남 창녕군 창녕읍 송현리 20-1
82 경주천군리사지(慶州千軍里寺址) 경북 경주시 천군동 548-1
83 선잠단(先蠶壇) 서울 성북구 성북동 64-1
84 함안도항리고분군(咸安道項里古墳群) 경남 함안군 가야읍 도항리 484
85 함안말산리고분군(咸安末山里古墳群) 경남 함안군 가야읍 말산리 325-2
86 성산동고분군(星山洞古墳群)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 산61
87 익산쌍릉(益山雙陵) 전북 익산시 석왕동 산55, 산56
88 경주성동리전랑지(慶州城東里殿廊址) 경북 경주시 성동동 4
89 부여석성산성(扶餘石城山城) 충남 부여군 석성면 현내리 산83
90 대흥임존성(大興任存城) 충남 예산군 대흥면 상중리 산8
92 익산토성(益山土城) 전북 익산시 금마면 서고도리 50-3
93 양산북정동고분군(梁山北亭洞古墳群) 경남 양산시 북정동 697
94 양산신기동고분군(梁山新基洞古墳群) 경남 양산시 신기동 29
95 양산중부동고분군(梁山中部洞古墳群) 경남 양산시 중부동 산1
96 경주읍성(慶州邑城) 경북 경주시 북부동 1
97 양산신기동산성(梁山新基洞山城) 경남 양산시 신기동, 호계동, 북정동
98 양산북부동산성(梁山北部洞山城) 경남 양산시 북부동, 남부동, 부동, 다방동
99 부여쌍북리요지(扶餘雙北里窯址) 충남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산30
100 양산법기리도요지(梁山法基里陶窯址) 경남 양산시 동면 법기리 산82
101 삼전도비(三田渡碑) 서울 송파구 삼전동 187
103 부안구암리지석묘군(扶安龜巖里支石墓群) 전북 부안군 하서면 석상리 707
104 황산대첩비지(荒山大捷碑址) 전북 남원시 운봉읍 화수리 344-2
105 칠백의총(七百義塚) 충남 금산군 금성면 의총리 52-1
106 석주관칠의사묘(石柱關七義士墓) 전남 구례군 토지면 송정리 171
107 정다산유적(丁茶山遺蹟) 전남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 산103-2
108 문익점면화시배지(文益漸棉花始培地) 경남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 106-1
109 아산맹씨행단(牙山孟氏杏壇) 충남 아산시 배방면 중리 300
111 김제벽골제비및제방(金堤碧骨堤碑 및 堤防) 전북 김제시 부량면 월승리 119
112 이충무공묘(李忠武公墓) 충남 아산시 음봉면 삼거리 산2-1
113 한산도이충무공유적(閑山島李忠武公遺蹟) 경남 통영시 한산면 두억리 875
114 묘당도이충무공유적(廟堂島李忠武公遺蹟) 전남 완도군 고금면 덕동리 산58
115 화령전(華寧殿)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신풍동 92-2
116 해미읍성(海美邑城) 충남 서산시 해미면 읍내리 16
117 경복궁(景福宮) 서울 종로구 세종로 1
118 진주성(晋州城) 경남 진주시 남성동·본성동
119 고성송학동고분군(固城松鶴洞古墳群) 경남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 473-5
120 고성내산리고분군(固城內山里古墳群) 경남 고성군 동해면 내산리 188-10
121 사직단(社稷壇) 서울 종로구 사직동 1-28
122 창덕궁(비원 포함)(昌德宮(秘苑 包含)) 서울 종로구 와룡동 2-71
123 창경궁(昌慶宮) 서울 종로구 와룡동 2-1
124 덕수궁(德壽宮) 서울 중구 정동 5-1
125 종묘(宗廟) 서울 종로구 훈정동 1-2
126 용장산성(龍藏山城) 전남 진도군 군내면 용장리 106
127 남도석성(南挑石城) 전남 진도군 임회면 남동리 149
128 회암사지(檜巖寺址) 경기 양주군 회천면 회암리 산14
129 천황산요지군(天皇山窯址群) 울산 울주군 상북면 이천리 산143-1
130 삼랑성(三郞城) 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산41
131 합천영암사지(陜川靈巖寺址) 경남 합천군 가회면 둔내리 1659
132 강화산성(江華山城) 인천 강화군 강화읍 국화리 산3번지 일원
133 강화고려궁지(江華高麗宮址) 인천 강화군 강화읍 관청리 743-1
134 삼성혈(三姓穴) 제주 제주시 이도동 1313
135 궁남지(宮南池)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117
136 참성단(塹星壇) 인천 강화군 화도면 흥왕리 산42-1
137 강화지석묘(江華支石墓) 인천 강화군 하점면 부근리 316
138 서출지(書出池) 경북 경주시 남산동 973
139 문수산성(文殊山城)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포내리 산36-1
140 독산성및세마대지(禿山城 및 洗馬臺址) 경기도 오산시 지곶동 162-1
141 광주무등산요지(光州無等山窯址) 광주 북구 금곡동 179-5
142 서악리고분군(西岳里古墳群) 경북 경주시 서악동 750
143 서울문묘일원(보물 및 현대건축물을 제외한 지상시설물 포함)(서울文廟一圓(寶物 및 現代建築物을 除外한 地上施設物 包含)) 서울 종로구 명륜동 3가 53
144 벽제관지(碧蹄館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고양동 55-1
145 고창읍성(高敞邑城) 전북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126
146 적상산성(赤裳山城) 전북 무주군 적상면 북창리 산119
147 문경관문(제1,제2,제3관문 및 부속성벽) (聞慶關門(第一, 第二, 第三 關門 및附屬城壁)) 경북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 555
148 파주덕은리주거지 및 지석묘군 (坡州德隱里住居址 및 支石墓群) 경기도 파주군 월롱면 덕은리 산46
149 육상궁(지상건물일체 포함) (毓祥宮(地上建物一切 包含)) 서울 종로구 궁정동 1-1
150 미륵사지(彌勒寺址)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32-2
151 하동고소성(河東姑蘇城) 경남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 산31
152 함양사근산성(咸陽沙斤山城) 경남 함양군 수동면 원평리 산60
153 언양읍성(彦陽邑城) 울산 울주군 언양읍 동부리, 서부리
154 옥산서원(玉山書院) 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7
155 현충사(顯忠祠) 충남 아산시 염치면 백암리 산57
156 증산성(甑山城) 충남 부여군 규암면 신성리 산86
157 원구단(圓丘壇) 서울 중구 소공동 87-1
158 문무대왕릉(文武大王陵) 경북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 앞 해중(대왕암)
159 이견대(利見臺) 경북 경주시 감포읍 대본리 661
160 전곶교(箭串橋) 서울 성동구 행당동 58
161 경주동부사적지대(慶州東部史蹟地帶) 경북 경주시 황남동 104-1
162 북한산성(北漢山城) 경기도 고양시 신도동 북한산 1-1외 서울 은평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일원
163 경주낭산(慶州狼山) 경북 경주시 보문동 214-2
164 진주평거동고려고분군(晉州平居洞高麗古墳群) 경남 진주시 평거동 산44-2
165 고령고아동벽화고분(高靈古衙洞壁畵古墳) 경북 고령군 고령읍 고아동 산13
166 무성서원(武城書院) 전북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500
167 해남윤씨녹우단(海南尹氏綠雨壇) 전남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 82
168 거돈사지(居頓寺址)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정산리 189
169 영산석빙고(靈山石氷庫) 경남 창녕군 영산면 교리 산10-2
170 도산서원(陶山書院) 경북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680
171 고종즉위40년칭경기념비(高宗卽位四十年稱慶記念碑) 서울 종로구 세종로 142-3
172 신라오릉(新羅五陵) 경북 경주시 탑동 67
173 신라일성왕릉(新羅逸聖王陵) 경북 경주시 탑동 산23
174 신라탈해왕릉(新羅脫解王陵) 경북 경주시 동천동 산17
175 미추왕릉(味鄒王陵) 경북 경주시 황남동 89-2
176 법흥왕릉(法興王陵) 경북 경주시 효현동 63
177 신라진흥왕릉(新羅眞興王陵) 경북 경주시 서악동 산92-2
178 신라진지·문성왕릉(新羅眞智·文聖王陵) 경북 경주시 서악동 산92-2
179 신라헌안왕릉(新羅憲安王陵) 경북 경주시 서악동 산92-2
180 신라진평왕릉(新羅眞平王陵) 경북 경주시 보문동 608
181 신문왕릉(神文王陵) 경북 경주시 배반동 453-1
182 신라선덕여왕릉(新羅善德女王陵) 경북 경주시 보문동 산79-2
183 신라효공왕릉(新羅孝恭王陵) 경북 경주시 배반동 산14
184 신라효소왕릉(新羅孝昭王陵) 경북 경주시 조양동 산8
185 신무왕릉(神武王陵) 경북 경주시 동방동 660
186 신라정강왕릉(新羅定康王陵) 경북 경주시 남산동 산53
187 신라헌강왕릉(新羅憲康王陵) 경북 경주시 남산동 산55
188 신라내물왕릉(新羅奈勿王陵) 경북 경주시 교동 14
189 임충민공충렬사(林忠愍公忠烈祠) 충북 충주시 단월동 385-1
190 전민애왕릉(傳閔哀王陵) 경북 경주시 내남면 망성리 산40
191 고려공양왕고릉(高麗恭讓王高陵) 경기도 고양시 원당동 산65-1, 산65-6
192 동래패총(東萊貝塚) 부산 동래구 낙민동 100-1
193 동구릉(東九陵) 경기도 구리시 동구동 산2-1
194 헌릉·인릉(獻陵·仁陵) 서울 서초구 내곡동 산13-1
195 영릉·영릉(英陵·寧陵) 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왕대리 산83-1
196 장릉(莊陵) 강원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산133-1
197 광릉(光陵)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면 부평리 산99-2
198 서오릉(西五陵) 경기도 고양시 용두동 산30-1
199 선릉·정릉(宣陵·靖陵) 서울 강남구 삼성동 산45-169
200 서삼릉(西三陵)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산38-4
201 태릉·강릉(泰陵·康陵) 서울 노원구 공릉동 313-19
202 장릉(章陵) 경기도 김포시 김포읍 풍무리 산141-1
203 장릉(長陵)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갈현리 산25-1
204 의릉(懿陵) 서울 성북구 석관동 1-5
205 공릉·순릉·영릉(恭陵·順陵·永陵) 경기도 파주시 조리면 봉일천리 산4-1
206 융릉·건릉(隆陵·健陵) 경기도 화성군 태안면 안녕리 1-1
207 홍유릉(洪裕陵) 경기 미금시 금곡동 141-1
208 정릉(貞陵) 서울 성북구 정릉동 산87-16
209 사릉(思陵) 경기 남양주시 진건면 사릉리 산65-1
210 온릉(溫陵) 경기도 양주군 장흥면 일영리 산19
211 인천녹청자도요지(仁川綠靑磁陶窯址) 인천 서구 검안동 산438-21
212 상당산성(上黨山城) 충북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 산28-1
213 우정총국(郵征總局) 서울 종로구 견지동 397
214 전구형왕릉(傳仇衡王陵) 경남 산청군 금서면 화계리 산16
215 금정산성(金井山城) 부산 금정구 금성동 43
216 가산산성(架山山城) 경북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 산98-1
217 당항성(唐項城) 경기도 화성군 서신면 상안리 산32
218 압량유적(押梁遺蹟) 경북 경산시 압량면 압량동 179
219 배리삼릉(拜里三陵) 경북 경주시 배동 73-1
220 희강왕릉(僖康王陵) 경북 경주시 내남면 망성리 34
221 지마왕릉(祗摩王陵) 경북 경주시 배동 30
222 경애왕릉(景哀王陵) 경북 경주시 배동 산73-1
223 숭의전지(崇義殿址)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아미리 7
224 고려고종홍릉(高麗高宗洪陵) 인천 강화군 강화읍 국화리 산180
225 초지진(草芝鎭) 인천 강화군 길상면 초지리 624
226 덕진진(德津鎭) 인천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 846
227 광성보(廣城堡) 인천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 833
228 북한산신라진흥왕순수비유지 (北漢山新羅眞興王巡狩碑遺址) 서울 종로구 구기동 산3
229 매헌윤봉길의사사적지(梅軒尹奉吉義士事蹟地) 충남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 산40-1
230 유관순열사유적(柳寬順烈士遺蹟) 충남 천안시 병천면 탑원리 338-1
231 홍주성(조양문·아문·산성)(洪州城(朝陽門·衙門·山城)) 충남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 200-2
232 관음포이충무공전몰유허(觀音浦李忠武公戰歿遺墟) 경남 남해군 고현면 차면리 산125
233 남해충렬사(南海忠烈祠) 경남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 350
234 아차산성(阿且山城) 서울 광진구 광장동 산16-46, 구의동 산1-2
235 삼년산성(三年山城) 충북 보은군 보은읍 어암리 산1-1
236 충무충렬사(忠武忠烈祠) 경남 통영시 명정동 213
237 함춘원지(含春苑址) 서울 종로구 연건동 28-21
238 순흥어숙묘(順興於宿墓) 경북 영주시 순흥면 태장리 산95
239 거창둔마리벽화고분(居昌屯馬里壁畵古墳) 경남 거창군 남하면 둔마리 산298-1
240 마산외동성산패총(馬山外洞城山貝塚) 경남 창원시 외동 86-1
241 월성화산리회유토기요지(月城花山里灰釉土器窯址) 경북 경주시 천북면 화산리 942-1
242 필암서원(筆巖書院) 전남 장성군 황룡면 필암리 378-379
243 석촌동고분군(石忖洞古墳群) 서울 송파구 석촌동 61-6
244 신라경순왕릉(新羅敬順王陵) 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고랑포리 산18-2
245 경주나정(慶州蘿井) 경북 경주시 탑동 700-1
246 재매정(財買井) 경북 경주시 교동 89-7
247 사당동백제요지(舍堂洞百濟窯址) 서울 동작구 사당동 538-1
248 구대한의원본관(舊大韓醫院本館) 서울 종로구 연건동 28
249 부여송국리선사취락지(扶餘松菊里先史聚落址) 충남 부여군 초촌면 송국리 산24-1
250 고창분청사기요지(高敞粉靑砂器窯址) 전북 고창군 부안면 수동리 산11
251 파사성(婆娑城) 경기도 여주군 대신면 천서리 산8-10
252 약현성당(藥峴聖堂) 서울 중구 중림동 149-2
253 구러시아공사관(舊러시아公使館) 서울 중구 정동 15-1
254 구벨기에영사관(舊벨기에領事館) 서울 관악구 남현동 1095-13
255 용산신학교와 원효로성당(龍山神學校와 元曉路聖堂) 서울 용산구 원효로4가 1-1
256 정동제일교회(貞洞第一校會) 서울 중구 정동 32-2
257 운현궁(雲峴宮) 서울 종로구 운니동 98-50
258 명동성당(明洞聖堂) 서울 중구 명동2가 1-8
259 강화선원사지(江華仙源寺址) 인천 강화군 선원면 지산리 산133
260 병산서원(屛山書院) 경북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 30
261 김해예안리고분군(金海禮安里古墳群) 경남 김해시 대동면 예안리 369-6
262 대구불로동고분군(大邱不老洞古墳群) 대구 동구 불로동 335
263 경주동방와요지군(慶州東方瓦窯址群) 경북 경주시 동방동 343-4
264 단양온달산성(丹陽溫達山城) 충북 단양군 영춘면 하리 산67
265 단양적성(丹陽赤城) 충북 단양군 단양읍 하방리 산3-1
266 동삼동패총(東三洞貝塚) 부산 영도구 동삼동 750-1
267 암사동유적(巖寺洞遺蹟) 서울 강동구 암사동 155
268 전곡리유적(全谷里遺蹟) 경기도 연천군 전곡면 전곡리 178-1
269 미사리유적(渼沙里遺蹟) 경기도 하남시 미사동 557 외
270 방이동고분군(芳荑洞古墳群) 서울 송파구 방이동 산47-4
271 경희궁(慶熙宮) 서울 종로구 신문로2가 1-126
272 만인의총(萬人義塚) 전북 남원시 향교동 628
273 동래복천동고분군(東萊福泉洞古墳群) 부산 동래구 복천동 50
274 송원대유물매장해역(宋元代遺物埋藏海域) 전남 신안군 지도읍 방축 위35˚01´15˝ 경126˚05´06˝
275 연세대학교스팀슨관(Stimson Hall) (延世大學校스팀슨館(Stimson Hall)) 서울 서대문구 신촌동 134
276 연세대학교언더우드관(Underwood Hall) (延世大學校언더우드館(Underwood Hall)) 서울 서대문구 신촌동 134
277 연세대학교아펜젤라관(Appenzeller Hall) (延世大學校아펜젤라館(Appenzeller Hall)) 서울 서대문구 신촌동 134
278 구서울대학교본관(舊서울大學校本館) 서울 종로구 동숭동 1-130
279 구공업전습소본관(舊工業傳習所本館) 서울 종로구 동숭동 199-1
280 한국은행본관(韓國銀行本館) 서울 중구 남대문로3가 110
281 중앙고등학교본관(中央高等學校本館) 서울 종로구 계동 1
282 중앙고등학교서관(中央高等學校西館) 서울 종로구 계동 1
283 중앙고등학교동관(中央高等學校東館) 서울 종로구 계동 1
284 서울역사(서울驛舍) 서울 중구 봉래동2가 122
285 고려대학교본관(高麗大學校本館) 서울 성북구 안암동 1
286 고려대학교구도서관(高麗大學校舊圖書館) 서울 성북구 안암동 1
287 인천답동성당(仁川沓洞聖堂) 인천 중구 답동 3-1
288 전주전동성당(全州殿洞聖堂)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동1가 200-1
289 목포시립도서관(木浦市立圖書館) 전남 목포시 대의동2가 15
290 대구계산동성당(大邱桂山洞聖堂) 대구 중구 계산동2가 71
291 진해우체국(鎭海郵遞局) 경남 진해시 통신동 1
292 덕포진(德浦鎭) 경기도 김포군 대곶면 신안리 산103-1
293 전봉준선생고택지(全琫準先生故宅址) 전북 정읍시 이평면 장내리 458-1
294 남고산성(南固山城) 전북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산228
295 황토현전적지(黃土峴戰蹟地) 전북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 2
296 관상감관천대(觀象監觀天臺) 서울 종로구 원서동 206-2
297 몽촌토성(夢村土城) 서울 송파구 오륜동 88-4
298 남원성(南原城) 전북 남원시 동충동 464-1
299 제암리삼일운동순국유적(堤巖里三一運動殉國遺蹟) 경기도 화성군 향남면 제암리 322-4
300 경산임당동고분군(慶山林堂洞古墳群) 경북 경산시 임당동 676-1
301 정림사지(定林寺址)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54
302 낙안읍성(樂安邑城) 전남 순천시 낙안면 남내리 299-1
303 광한루원(廣寒樓苑) 전북 남원시 천거동 78
304 담양소쇄원(潭陽瀟灑園) 전남 담양군 남면 지곡리 123
305 조식유적(曺植遺蹟) 경남 산청군 시천면 원리, 사리 산72
306 갑곶돈(甲串墩) 인천 강화군 강화읍 갑곶리 1020
307 성주사지(聖住寺址) 충남 보령시 미산면 성주리 72
308 장도청해진유적(將島淸海鎭遺蹟) 전남 완도군 완도읍 장좌리 734
309 실상사일원(實相寺一圓)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33-3외
310 해남진산리청자요지(海南珍山里靑磁窯址) 전남 해남군 산이면 진산리 136외
311 경주남산일원(慶州南山一圓) 경북 경주시 인왕동 외 4개동, 내남면 용장리 외 2개리
312 화순운주사지일원(和順雲住寺址一圓) 전남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용강리 산3외
313 순흥읍내리벽화고분(順興邑內里壁畵古墳) 경북 영주시 순흥면 읍내리 산29-1
314 광주조선백자도요지(廣州朝鮮白磁陶窯址) 경기도 광주군 퇴촌면 외 1읍 5개면
315 청주흥덕사지(淸州興德寺址) 충북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 866
316 보원사지(普願寺址)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05
317 중원미륵리사지(中原彌勒里寺址) 충북 충주시 상모면 미륵리 58
318 화산천주교회(華山天主敎會) 전북 익산시 망성면 화산리 1158-6
319 청주신봉동백제고분군(淸州新鳳洞百濟古墳群) 충북 청주시 흥덕구 신봉동 산7
320 울산병영성(蔚山兵營城) 울산 중구 서동 149-8외
321 죽도앞바다고려청자매장해역 (竹島앞바다高麗靑磁埋藏海域) 충남 보령시 주포면 송학리 죽도 앞바다
322 황석산성(黃石山城) 경남 함양군 서하면 봉전리 산153-2
323 윤관장군묘(尹瓘將軍墓) 경기도 파주군 광탄면 분수리 산4-1
324 서대문형무소(西大門刑務所) 서울 서대문구 현저동 101
325 진천산수리백제요지(鎭川山水里百濟窯址) 충북 진천군 덕산면 산수리 196-3
326 합천옥전고분군(陜川玉田古墳群) 경남 합천군 쌍책면 성산리 산23 외
327 의창다호리고분군(義昌茶戶里古墳群) 경남 창원시 동면 다호리 237-3
328 경주용강동고분(慶州龍江洞古墳) 경북 경주시 용강동 1130-2외
329 용인서리고려백자요지(龍仁西里高麗白磁窯址) 경기도 용인시 이동면 서리 산23-1 외
330 효창공원(孝昌公園) 서울 용산구 효창동·청파동 2가 및 마포구 신공덕동·공덕동 일원
331 임당동고분군(林堂洞古墳群) 경북 경산시 조영동, 압량면 부적리 일원
332 검단리유적(檢丹里遺蹟) 울산 울주군 웅촌면 검단리 산62 외
333 공주학봉리도요지(公州鶴峰里陶窯址) 충남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산22-1 외
334 석장리유적(石莊里遺蹟) 충남 공주시 장기면 장암리 98 외
335 통영연대도패총(統營煙臺島貝塚) 경남 통영시 산양면 연곡리 24-17 외
336 선산낙산리고분군(善山洛山里古墳群) 경북 구미시 해평면 낙산리 98-4 외
337 나주읍성남문지(羅州邑城南門址) 전남 나주시 남내동 2-20 외
338 영암구림리토기요지(靈巖鳩林里土器窯址) 전남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 320 외
339 경기전(慶基殿) 전북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3가 102 외
340 경주천관사지(慶州天官寺址) 경북 경주시 교동 244
341 김해대성동고분군(金海大成洞古墳群) 경남 김해시 대성동 434
342 군포산본동조선백자요지(軍浦山本洞朝鮮白磁窯址) 경기도 군포시 산본동 147
343 한우물 및 주변산성지(한우물 및 周邊山城址) 서울 금천구 시흥동 산83-1 외
344 진천삼용리백제토기요지(鎭川三龍里百濟土器窯址) 충북 진천군 이월면 삼룡리 산518-10
345 고창용계리청자요지(高敞龍溪里靑磁窯址) 전북 고창군 아산면 용계리 산22 외
346 무장읍성(茂長邑城) 전북 고창군 무장면 성내리 149-1 외
347 입점리고분군(笠店里古墳群) 전북 익산시 웅포면 입점리 산174 외
348 태백산사고지(太白山史庫址) 경북 봉화군 청양면 석현리 산126-5
349 만복사지(萬福寺址) 전북 남원시 왕정동 489 외
350 경주구정동고분군(慶州九政洞古墳群) 경북 경주시 구정동 145-1
351 파주오두산성(坡州烏頭山城)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산86 외
352 하남춘궁동동사지(河南春宮洞棟寺址)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457-3
353 담양금성산성(潭陽金城山城) 전남 담양군 금성면 금성리 대성리 등
354 탑골공원(탑골公園) 서울 종로구 종로2가 38-1
355 대덕계족산성(大德鷄足山城) 대전 대덕구 장동 산85
356 순강원(順康園)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150 외
357 영회원(永懷園)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 산141-20
358 소령원(昭寧園)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영장리 267 외
359 유길원(綏吉園)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영장리 266 외
360 휘경원(徽慶園)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267 외
361 영휘원(숭인원포함)(永徽園(崇仁園包含))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 204-2 외
362 연산군묘(燕山君墓) 서울 도봉구 방학동 산77
363 광해군묘(光海君墓)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면 송릉리 산59 외
364 명빈묘(明嬪墓)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 산14
365 성묘(成墓)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면 송릉리 산55
366 안빈묘(安嬪墓)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면 송릉리 산66
367 영빈묘(寧嬪墓)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장현리 175
368 보길도윤선도유적(甫吉島尹善道遺蹟) 전남 완도군 보길면 부황리 595 외
369 석릉(碩陵) 인천 강화군 양도면 길정리 산182
370 가릉(嘉陵) 인천 강화군 양도면 능내리 산16-2
371 곤릉(坤陵) 인천 강화군 양도면 길정리 산75
372 양천고성지(陽川古城址) 서울 강서구 가양동 산8-4 외
373 부여정암리와요지(扶餘亭巖里瓦窯址) 충남 부여군 장암면 정암리 47 외
374 군위인각사지(軍威麟角寺址) 경북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612 외
375 광주신창동유적(光州新昌洞遺蹟) 광주 광산구 신창동 512-1
376 속초조양동선사유적(束草朝陽洞先史遺蹟) 강원 속초시 조양동 산142 외
377 장성대도리백자요지(長城大都里白磁窯址) 전남 장성군 삼서면 대도리 885 외
378 성락원(城樂園) 서울 성북구 성북동 2-22 외
379 전주향교일원(全州鄕校一圓) 전북 전주시 완산구 교동 26-3 외
380 제주목관아지(濟州牧官衙址) 제주 제주시 삼도2동 43-40 외
381 여수충민사(麗水忠愍祠) 전남 여수시 덕충동 1808 외
382 여주고달사지(驪州高達寺址)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 411-1 외
383 논산돈암서원(論山遯巖書院) 충남 논산시 연산면 임리 74 외
384 장성입암산성(長城笠巖山城) 전남 장성군 북하면 신성리 산20-2 외
385 구례석주관성(求禮石柱關城) 전남 구례군 토지면 송정리 산65 외
386 영일장기읍성(迎日長?邑城) 경북 포항시 남구 장기면 읍내리 127-2 외
387 우금치전적지(牛金峙戰蹟地) 충남 공주시 금학동 산78-1외
388 강릉임영관지(江陵臨瀛館址) 강원 강릉시 용강동 58-1
389 파주가월리및주월리구석기유적 (坡州佳月里 및 舟月里舊石器遺蹟)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가월리 산95-6 외, 주월리 309 외
390 경주보문리사지(慶州普門里寺址) 경북 경주시 보문동 848-6 외
391 고창지석묘군(高敞支石墓群) 전북 고창군 고창읍 죽림리 산63 외
392 여천선소유적(麗川船所遺蹟) 전남 여천시 시전동 708 외
393 논산노성산성(論山魯城山城) 충남 논산시 노성면 송당리 산1-1 외
394 양양오산리선사유적(襄陽鰲山里先史遺蹟) 강원 양양군 손양면 오산리 60 외
395 무안도리포고려청자매장해역 (務安道里浦高麗靑瓷埋藏海域) 전남 무안군 해제면 송석리 도리포 앞바다
396 제주항바두리항몽유적지(濟州缸坡頭里抗蒙遺蹟址) 제주 북제주군 애월읍 고성리 1126-1 외
397 전라병영성지(全羅兵營城址) 전남 강진군 병영면 성동리 319-1 외
398 단양수양개선사유적(丹陽수양개先史遺蹟) 충북 단양군 적성면 애곡리 182-1
399 양화나루·잠두봉유적(楊花나루·蠶頭峰遺蹟) 서울 마포구 합정동 96-1 외
400 충주장미산성(忠州薔薇山城) 충북 충주시 가금면 장천리 산77-1 외
401 괴산미륵산성(槐山彌勒山城) 충북 괴산군 청천면 고성리 산8-37 외
402 통제영지(統制營址) 경남 통영시 문화동 62 외
403 포천반월성지(抱川半月城址) 경기도 포천군 군내면 구읍리 산5-1 외
404 나주복암리고분군(羅州伏岩里古墳群) 전남 나주시 다시면 복암리 873-17 외
405 익산제석사지(益山帝釋寺址) 전북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 247-1번지 외
406 황룡전적지(黃龍戰蹟地) 전남 장성군 황룡면 신호리 356번지외(17필지)
407 광양옥룡사지일원(光陽玉龍寺址一圓) 전남 광양시 옥룡면 추산리 302 외
408 왕궁리유적(王宮里遺蹟) 전북 익산시 왕궁면 산80-1외,금마면 동고도리 1109-8 외
409 백산성(白山城) 전북 부안군 백산면 용계리 산8-1 외
410 화순효산리 및 대신리지석묘군 (和順孝山里 및 大薪里支石墓郡) 전남 화순군 도곡면 효산리 산68-1 외, 춘양면 대신리 외
411 대구진천동입석(大邱辰泉洞立石) 대구 달서구 진천동 47-38 외
412 제주고산리선사유적(濟州高山里先史遺蹟) 제주 북제주군 한경면 고산리 3628번지
413 시흥방산동청자·백자요지(始興芳山洞靑磁·白磁窯址) 경기도 시흥시 방산동 370-1 외
414 김유신탄생지 및 태실(金庾信誕生址 및 胎室) 충북 진천군 진천읍 상계리 18번지 외
415 청주정북동토성(靑州井北洞土城) 충북 청주시 상당구 정북동 351-1번지 외
416 제주삼양동선사유적(濟州三陽洞先史遺蹟) 제주시 삼양1동 토지구획정리지구 39B9L 일대
417 괴산우암송시열유적(槐山尤庵宋時烈遺蹟) 충북 여천군 청천면 화양리 375-3 외
418 순천검단산성(順天檢丹山城) 전남 순천시 해룡면 성산리 산84
419 경주용강동원지유적(慶州龍江洞苑址遺蹟) 경북 경주시 황성동 251-28, 용강동181 외
420 부여능안골고분군(夫餘陵안골古墳群) 충남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75-7외
421 삼척두타산이승휴유허(三陟頭陀山李承休遺墟) 강원 삼척시 미로면 내미로리 785번지 외
422 하남이성산성(河南二聖山城) 경기 하남시 춘궁동 산 36번지외
423 이천설봉산성(利川雪峯山城) 경기 이천시 사음동 산 24번지외
424 성공회강화성당(聖公會江華聖堂) 인천 강화군 강화읍 관청리 250
425 부여화지산일원유적(扶餘花枝山一圓遺蹟)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105번지 외
426 고성문암리선사유적(高城文岩里先史遺蹟) 강원 고성군 죽암면 문암리 1번지외
427 왕흥사지(王興寺址) 충남 부여군 규암면 신리 37-2번지외
428 부여관북리백제유적(扶餘官北里百濟遺蹟) 충남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 33외
429 김해구지봉(金海龜旨峰) 경남 김해시 구산동 산81-2번지 일원
430 경주손곡동·물천리유적(慶州蓀谷洞·勿川里遺蹟) 경북 경주시 손곡동,물천리 일원
431 홍주의사총(洪州義士塚) 충남 홍성군 홍성읍 대교리 124-2 외
432 해남윤선도유적(海南尹善道遺蹟) 전남 해남군 현산면 구시리 산181 외
433 공주장선리토실유적(公州長善里土室遺蹟) 충남 공주시 탄천면 장선리 151-6외
434 부여능산리사지(扶餘陵山里寺址) 충남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산15-1 외
435 부여금강사지(扶餘金剛寺址) 충남 부여군 은산면 금공리 13-1외
436 선농단(先農壇) 서울 동대문구 제기2동 274-1
437 파주칠중성(坡州七重城) 경기 파주시 적성면 구읍리 산148외
438 안국동윤보선가(安國洞尹潽善家) 서울 종로구 안국동 8-1외
439 원주강원감영지(原州江原監營址) 강원 원주시 일산동 54-1
440 초안산조선시대분묘군(楚安山朝鮮時代墳墓群) 서울 노원구 월계동 산8-3 외, 도봉구 창동 산202-1 외
441 시흥오이도유적(始興烏耳島遺蹟) 경기 시흥시 정왕동 914번지 등
442 구대구의학전문학교본관(舊大邱醫學專門學校本館) 대구 중구 동인동 2가 101
443 구도립대구병원(舊道立大邱病院) 대구 중구 삼덕동 2가 50
444 성주세종대왕자태실(星州世宗大王子胎室) 경북 성주군 월항면 인촌리 산8
445 충주숭선사지(忠州崇善寺址) 충북 충주시 신니면 문숭리 862-2외
446 영월정양산성(寧越正陽山城) 강원 영월군 영월읍 정양리 산1-1외 8필
447 원주영원산성(原州領願山城) 강원 원주시 판부면 금대리 산50-2외 1필
448 강릉굴산사지(江陵掘山寺址) 강원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 597외
449 해남군곡리패총(海南郡谷里貝塚) 전남 해남군 송지면 군곡리
450 사천늑도유적(泗川勒島遺蹟) 경남 사천시 늑도동
451 화성마하리백제고분군(華城馬霞里百濟古墳群) 경기 화성시 봉담읍 마하리 산40외
452 강화외성(江華外城) 인천 강화군 강화읍, 선원면, 불은면, 길상면 일원(강화도)
453 하동읍성(河東邑城) 경남 하동군 고전면 고하리 산151일원
454 김해양동리고분군(金海良洞里古墳群) 경남 김해시 주촌면 양동리 산3번지 등
455 아차산일대보루군(阿且山一帶堡壘群) 서울 광진구 중랑구·노원구 및 경기도 구리시 일대
456 나주오량동토기요지(羅州五良洞土器窯地) 전남 나주시 오량동 산27번지 일원
457 경주일정교지·월정교지(慶州日精橋地·月精橋地) 경북 경주시 인왕동 921-1외, 교동 274 등
458 순천월평구석기유적(順天月坪舊石器遺蹟) 전남 순천시 외서면 월암리(월평마을) 189-1외 일원
459 밀양고법리박익벽화묘(密陽古法里朴翊壁畵墓) 경남 밀양시 청도면 고법리 산 134내
460 공주수촌리고분군(公州水村里古墳群) 충남 공주시 의당면 수촌리 201 외 일원
461 서울청계천유적(광통교지,수표교지,오간수문지) (서울淸溪川遺蹟(廣通橋址,水標橋址,五間水門址)) 서울 종로구 관철동 270-1외, 중구 남대문로 9 외
462 서울부암동백석동천유적(서울付岩洞白石洞天遺蹟) 서울 종로구 부암동 115 일대
463 충주누암리고분군(忠州樓岩里古墳群) 충북 충주시 가금면 누암리 산41 외 일원
464 파주용미리혜음원지(坡州龍尾里惠蔭院址) 경기 파주시 광탄면 용미4리 234-1 일원
465 서울경교장(서울京橋莊) 서울 종로구 평동 108-1
466 원주법천사지(原州法泉寺址) 강원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 629 외
467 연천호로고루(漣川瓠蘆古壘) 경기 연천군 장남면 원당리 1257-1 등
468 연천당포성(漣川堂浦城) 경기 연천군 미산면 동이리 778 등
469 연천은대리성(漣川隱垈里城) 경기 연천군 전곡읍 은대리 577 등
470 구미황상동고분군(龜尾黃桑洞古墳群) 경북 구미시 황상동 산68 외
471 완주위봉산성(完州威鳳山城)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1-32 외
472 마산진동리유적(馬山鎭東里遺蹟) 경남 마산시 진동면 진동리 130 외
473 서천봉선리유적(舒川鳳仙里遺蹟) 충남 서천군 시초면 봉선리581외
474 공주정지산유적(公州艇止山遺蹟) 충남 공주시 금성동 산1 외
475 서산부장리고분군(瑞山副長里古墳群)

출처 : 문화재청

 

 

 

 

 

 

*보시고 아래모양에 공감 버튼을 ~ 눌러주세요! -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