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악회/바캉스 동우회

[남해 여행] 호국도량으로 널리 알려진 남해군 제1의 사찰 호구산 용문사,염불암,백련암 - 용문사.

SMALL

*바캉스 동우회에서 2015.11.22일 경남 남해 호구산 용문사,염불암,백련암 사찰구경을 하고 왔습니다.

신라 문무왕 3년, 호구산 중턱에 창건된 남해 용문사는 남해군 제1의 사찰로서 신라시대의 원효대사(元曉大師)가 금산(錦山)에 창건한 보광사(普光寺)의 후신이라고 전해진다. 이 절에는 처음에 첨성각(瞻星閣)만이 있었다고 한다.

 

 

1.대한불교 조계종 남해 용문사 대웅전:

1592년(조선 선조 25년) 임진왜란 때 이 절의 승려들이 승병으로 참여해 왜군과 싸웠는데, 이 때 절이 화재로 소실됐다. 이후 1661년(현종 2년) 학진(學進)이 인근 보광사(普光寺) 건물을 옮겨와 중창했다.

 

2.호구산 용문사 일주문:

보광사는 원효대사가 세운 사찰이었으나 이곳으로 옮길 때에는 폐사 직전의 상태였다고 한다. 용연(龍淵) 위쪽에 터를 잡았다고 해서 용문사라고 이름을 붙였다. 임란 이후 호국도량으로 널리 알려져 숙종때는 나라를 지키는 절이라며 수국사(守國寺)로 지정했다.

 

3.호구산 등산안내도:

보물로 지정된 대웅전은
2014년 12월29일, 문화재청은 남해 용문사(주지 지각 스님)대웅전을 보물 제1849호로 지정했다. 용문사 대웅전은 중창 기록과 건축 양식으로 볼 때, 조선 현종 7년(1666년)에 일향화상(一香和尙)에 의해 건립되고, 영조 47년(1773년)에 중수가 완료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4.호구산 용문사:

용문사 대웅전은 평면 구성과 공포의 표현기법, 상부 가구와 닫집(불상을 감싸는 작은 집이나 불상 위를 장식하는 덮개) 등에서 수려한 장엄 수법을 잘 간직하고 있다. 이러한 장엄의 극치는 18세기 이후 건립된 사찰 주불전의 특징적 건축양식으로, 서남해안 지역의 건축 경향이 동쪽 지역으로 확장돼 발전하는 양식적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5.호구산 용문사:

대웅전은 정면3칸, 측면3칸의 다포계 팔작건물이다. 하지만 다포계 팔작 건물치고는 기둥머리 장식물의 크기가 비교적 커서 처마의 돌출이 심하고 지붕이 웅장하다.

 

6.호구산 용문사 천왕각:

처마가 처지는 것을 막기위해 세운 네 귀퉁이의 받침기둥도 자연스럽게 어울린다. 이 건물의 특징은 탁월할 정도로 뛰어난 조성 기법에 있다. 정면의 중앙 기둥 위쪽에 잇는 용머리 장식은 그 솜씨가 대단히 정교하고 생동감이 있다.

 

7.호구산 용문사 천왕각:

또 연꽃과 구름무늬가 중앙을 향해 피어오르게 한 안쪽의 포작구성은 내부공간을 더욱 현란하게 만들고 있고 대들보에서 내민 용머리 등의 사실적 표현은 마치 천장전체에 여러 마리의 용이 노니는 것처럼 보이게 했다.

 

8.호구산 용문사 천왕각:

지각스님은 “이 사찰이 조선후기 호국 사찰로 국가에서 보호를 받았으므로 절의 재건에 국가의 지원이 있었을 것입니다. 그때 국가에 소속된 장인이 초빙되어 예술적 경지가 높은 이 건물을 지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며 “산위에서 보면 절이 참 아름답습니다. 법당의 용이 많고 특이한데다가 소실이 안되고 보존상태가 좋아 문화재로서 가치가 높습니다”라고 전했다.

 

9.호구산 용문사

 

10.호구산 용문사

 

11.호구산 용문사 촌은집 

 

12.호구산 용문사

 

13.호구산 용문사

 

14.호구산 용문사 칠성각

 

15.호구산 용문사 명부전

 

16.호구산 용문사

 

17.호구산 용문사 구유(구시통)

 

18.호구산 용문사 구유(구시통) 안내문

 

19.호구산 용문사

 

20.호구산 용문사 자율찻집

 

21.호구산 용문사 해우소

 

22.호구산 용문사 석불

 

23.염불암 대웅전

 

24.염불암

 

25.염붕암 전경

 

26.대한 불교조계종 백련암 전경

 

27.백련암

 

28.백련암

 

 

*호구산 용문사

신라 문무왕 3년, 호구산 중턱에 창건된 남해 용문사는 남해군 제1의 사찰로서 신라시대의 원효대사(元曉大師)가 금산(錦山)에 창건한 보광사(普光寺)의 후신이라고 전해진다. 이 절에는 처음에 첨성각(瞻星閣)만이 있었다고 한다.

 

1592년(조선 선조 25년) 임진왜란 때 이 절의 승려들이 승병으로 참여해 왜군과 싸웠는데, 이 때 절이 화재로 소실됐다. 이후 1661년(현종 2년) 학진(學進)이 인근 보광사(普光寺) 건물을 옮겨와 중창했다. 보광사는 원효대사가 세운 사찰이었으나 이곳으로 옮길 때에는 폐사 직전의 상태였다고 한다. 용연(龍淵) 위쪽에 터를 잡았다고 해서 용문사라고 이름을 붙였다. 임란 이후 호국도량으로 널리 알려져 숙종때는 나라를 지키는 절이라며 수국사(守國寺)로 지정했다.

 

보물로 지정된 대웅전
2014년 12월29일, 문화재청은 남해 용문사(주지 지각 스님)대웅전을 보물 제1849호로 지정했다. 용문사 대웅전은 중창 기록과 건축 양식으로 볼 때, 조선 현종 7년(1666년)에 일향화상(一香和尙)에 의해 건립되고, 영조 47년(1773년)에 중수가 완료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용문사 대웅전은 평면 구성과 공포의 표현기법, 상부 가구와 닫집(불상을 감싸는 작은 집이나 불상 위를 장식하는 덮개) 등에서 수려한 장엄 수법을 잘 간직하고 있다. 이러한 장엄의 극치는 18세기 이후 건립된 사찰 주불전의 특징적 건축양식으로, 서남해안 지역의 건축 경향이 동쪽 지역으로 확장돼 발전하는 양식적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대웅전은 정면3칸, 측면3칸의 다포계 팔작건물이다. 하지만 다포계 팔작 건물치고는 기둥머리 장식물의 크기가 비교적 커서 처마의 돌출이 심하고 지붕이 웅장하다. 처마가 처지는 것을 막기위해 세운 네 귀퉁이의 받침기둥도 자연스럽게 어울린다. 이 건물의 특징은 탁월할 정도로 뛰어난 조성 기법에 있다. 정면의 중앙 기둥 위쪽에 잇는 용머리 장식은 그 솜씨가 대단히 정교하고 생동감이 있다.

 

또 연꽃과 구름무늬가 중앙을 향해 피어오르게 한 안쪽의 포작구성은 내부공간을 더욱 현란하게 만들고 있고 대들보에서 내민 용머리 등의 사실적 표현은 마치 천장전체에 여러 마리의 용이 노니는 것처럼 보이게 했다. 지각스님은 “이 사찰이 조선후기 호국 사찰로 국가에서 보호를 받았으므로 절의 재건에 국가의 지원이 있었을 것입니다. 그때 국가에 소속된 장인이 초빙되어 예술적 경지가 높은 이 건물을 지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며 “산위에서 보면 절이 참 아름답습니다. 법당의 용이 많고 특이한데다가 소실이 안되고 보존상태가 좋아 문화재로서 가치가 높습니다”라고 전했다.

 

또 하나의 보물 괘불탱화
남해 용문사에는 대웅전 외에 보물이 한 점 더 있다. 지난 2005년 9월 6일 보물 제1446호로 지정된 괘불탱화가 있다. 조선시대 탱화인 용문사 괘불탱은 본존불상 좌·우에 협시보살상만을 배치시켜 삼존도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중앙의 본존불상을 위시해 좌측에는 정면을 향한 채 똑바로 서서 여의(如意)를 들고 잇는 보살상이 자리하고 있으며, 우측에는 좌협시보 살상과 동일한 자세로 서서 연꽃가지를 받쳐 든 보살상이 배치되어 있다.

괘불탱은 18세기 후반 불화들에서 주로 나타나는 전형적인 양식 특징이 있다. 입불상인 중앙의 본존불상의 눈·코·입이 작게 묘사되고 미소가 잘 보이지 않는 경직된 표정의 얼굴과 수평으로 들어 올려진 어깨 등이 18세기 후반 양식이다. 괘불탱의 좌협시보살상은 보관을 쓰고 여의를 들고 있는데, 석가모니불의 좌협시인 문수보살로 추정된다. 머리 크기에 비해 어깨고 좁고, 작아질 발로 인해 위축된 느낌도 든다. 하지만 팔에 걸쳐 흘러내린 길고 굵은 천 자락이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준다.

우협시보살도 좌협시보살과 유사하며, 하단부에는 7개의 화기가 있다. 용문사괘불탱은 인물의 형태 및 표정, 신체 비례 등에 있어서 18세기 중반 이후 불화의 전형적인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특히, 경직된 듯 조화롭고 세련된 표현기법은 18세기 중반 이후 불화연구의 자료적 가치가 있다. 지난해 11월18일에는 용문사괘불탱 점안식이 열렸다. 2012년 1억원이 넘는 보수비용을 들인 괘불탱화는 대웅전에 걸렸는데 이는 1970년대 이후 40여년 만에 대중들에게 공개된 터라 한층 그 의미를 더했다.

 

 

 

*웃자퀴즈 290: 입방아를 찧어 만든 떡은?

*힌트:인터넷에 검색하면 정답이 있습니다. ㅎㅎㅎㅎ 매주 월요일 정답 공개 합니다 ㅋㅋㅋㅋ

*아래모양 공감쿡~ 눌러 주세요! 감사 니다!  프로필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