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대구수목원

[대구수목원] 동맥경화증 월경과다 변비등 다양한 증상에 이용되고 나물로 먹는 한국 원산지 휘귀한 자주꽃방망이,꽃,효능 - 신박사.

SMALL

*대구수목원에 한국 원산지 동맥경화증 월경과다 위통 변비 인후염 등 다양한 증상에 이용되는 휘귀한 보라색

자주꽃방망이 꽃이 복스럽게 피었습니다.

 

 

1.자주꽃방망이 꽃: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원산지는 한국이다.

7~8월경에 피는 꽃은 관상용으로, 잎은 나물로 식용되며 삭과인 열매는 10월에 결실을 맺는다.

우리나라 각지 분포한다.

 

2.자주꽃방망이 명패:

어린 잎은 나물로 먹으며 방망이 같이 쭉뻗은 단단한 줄기에 자주 보라색 꽃이 쯩쯩이 달려 있다고 하여 '자주꽃방망이라는 이름이 붇여 졌다 합니다.

키가 40Cm~100Cm로 쯩쯩이 보라색 꽃이 활짝피면 그야말로 아름다운 꽃 방망이 같습니다.

 

3..자주꽃방망이 꽃:

늦은 여름, 깊고 깊은 산에서 만나는 가장 인상적인 꽃을 고르라면 분홍바늘꽃, 제비동자꽃, 왜솜다리, 솔나리 등등 여러 가지가 떠오르지만 자주꽃방망이도 빠지지 않게 빼어난 꽃이다. 이름만 들어도 짐작할 수 있듯이 보라색의 아름다운 꽃송이들이 마치 꽃방망이처럼 모여 달려 있으니 두말할 필요가 없다. 이 식물의 한자 이름이 취화풍령초(聚花風鈴草)인데 바람에 흔들리는 방울처럼 꽃들이 매달려 있는 모습은 상상만으로도 즐겁다.

 

4.자주꽃방망이 꽃:

자주꽃방망이는 중북부 지방의 산지에서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이 식물을 맨처음 본 곳은 백두산이었는데 선녀와 나무꾼의 전설이 있는 그곳에서 풋내기 식물학도에게 이 꽃이 얼마나 인상적이었을까는 짐작할 수 있으리라. 그 이후로 가끔 이 식물을 보지만 러시아 같은 북부 지방으로갈수록 강렬한 꽃이 피는 것을 보면 이 꽃의 학명이 붙여진 다후리라는 지명을 딴 명칭이 의미 있게 생각된다. 영어 이름도 다후리안 블루 벨(Dahurian blue bell)로 남보라색의 꽃 모양을 잘 나타내고 있다.

 

5.자주꽃방망이 꽃:

자주꽃방망이는 키가 보통은 허벅지 높이쯤, 잘 크면 허리께까지 자란다. 뿌리 근처의 잎은 잎자루가 길고 날개가 있으며, 줄기의 위쪽으로 갈수록 잎자루는 짧아진다. 꽃은 한여름에 핀다. 종 같은 꽃은 끝이 다섯 갈래로 갈라져 약간 벌어지며 그 속에서 수술이 예쁘게 드러난다. 열매는 세 개의 방으로 되어 있는데 익으면 벌어지고 그 속에 까맣고 작은 종자가 많이 들어 있다. 아주 드물게 흰색의 꽃이 피는 흰자주꽃방망이도 있는데 지금까지 백두산과 태백산에서 발견된 기록이 있다.

 

6.자주꽃방망이 꽃:

자주꽃방망이를 보면 식물체 자체는 길면서 꽃이 많이 달려 있으므로 꽃꽂이용으로 쓰면 좋겠다는 생각이 절로 난다. 물론 자연스러운 정원에도 좋다. 약으로도 이용하는데 동맥경화증, 월경과다, 위통, 변비, 인후염 등 다양한 증상 이용된다. 북부 지방에서는 어린순을 나물로도 먹는다.

 

7.자주꽃방망이 꽃:

자주꽃방망이는 산지의 햇빛이 드는 곳에서 주로 자란다. 따라서 햇빛이 필요하면서도 여름이 서늘한 지역이 좋다. 낮은 곳에서 키우려면 차라리 반그늘이 낫다. 많이 키우려면 씨앗을 뿌리는 것이 가장 좋은데 가을에 익은 종자를 바로 뿌리면 이듬해 봄에 싹이 튼다. 초기에는 땅에 습도를 유지하는 일도 중요하다.

 

8.자주꽃방망이 꽃:

자주꽃방망이는 함백산, 태백산, 설악산, 오대산 등 깊은 산에서 주로 발견된다. 하지만 그 수가 점차 줄어들고 있음이 느껴진다. 꽃이 워낙 인상적이므로 보면 욕심을 내는 이가 많기 때문이다. 아무 곳에서나 자라는 풀이 아니어서, 특히 산에서 살던 것을 옮기면 대부분은 죽이고 만다. 씨앗을 뿌리면 얼마든지 얻으며 적응력도 강해지는데 말이다. 생각해 보면 꽃을 좋아하는 마음과 이를 캐어 내는 마음이 함께 있다는 것이 이상하다.

 

9.자주꽃방망이 꽃

 

10.자주꽃방망이 꽃

 

10.자주꽃방망이 꽃

 

10.자주꽃방망이 꽃

 

10.자주꽃방망이 꽃

 

10.자주꽃방망이 꽃

 

10.자주꽃방망이 꽃

 

10.자주꽃방망이 꽃

 

10.자주꽃방망이 꽃

 

10.자주꽃방망이 꽃

 

10.자주꽃방망이 꽃

 

10.자주꽃방망이 꽃



*자주꽃방망이

분류:초롱꽃과

학명: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Fisch. ex KerGawl.

원산지:아시아 (중국,일본,대한민국)

서식지: 산지의 햇볕이 잘 드는 풀밭

꽃말:천사, 기도

설명: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원산지는 한국이다.

7~8월경에 피는 꽃은 관상용으로, 잎은 나물로 식용되며 삭과인 열매는 10월에 결실을 맺는다.

우리나라 각지 분포한다.

어린 잎은 나물로 먹으며 방망이 같이 쭉뻗은 단단한 줄기에 자주 보라색 꽃이 쯩쯩이 달려 있다고 하여 '자주꽃방망이라는 이름이 붇여 졌다 합니다.

키가 40Cm~100Cm로 쯩쯩이 보라색 꽃이 활짝피면 그야말로 아름다운 꽃 방망이 같습니다.

 

 

*자주꽃방망이 효능

늦은 여름, 깊고 깊은 산에서 만나는 가장 인상적인 꽃을 고르라면 분홍바늘꽃, 제비동자꽃, 왜솜다리, 솔나리 등등 여러 가지가 떠오르지만 자주꽃방망이도 빠지지 않게 빼어난 꽃이다. 이름만 들어도 짐작할 수 있듯이 보라색의 아름다운 꽃송이들이 마치 꽃방망이처럼 모여 달려 있으니 두말할 필요가 없다. 이 식물의 한자 이름이 취화풍령초(聚花風鈴草)인데 바람에 흔들리는 방울처럼 꽃들이 매달려 있는 모습은 상상만으로도 즐겁다.
자주꽃방망이는 중북부 지방의 산지에서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이 식물을 맨처음 본 곳은 백두산이었는데 선녀와 나무꾼의 전설이 있는 그곳에서 풋내기 식물학도에게 이 꽃이 얼마나 인상적이었을까는 짐작할 수 있으리라. 그 이후로 가끔 이 식물을 보지만 러시아 같은 북부 지방으로갈수록 강렬한 꽃이 피는 것을 보면 이 꽃의 학명이 붙여진 다후리라는 지명을 딴 명칭이 의미 있게 생각된다. 영어 이름도 다후리안 블루 벨(Dahurian blue bell)로 남보라색의 꽃 모양을 잘 나타내고 있다.
자주꽃방망이는 키가 보통은 허벅지 높이쯤, 잘 크면 허리께까지 자란다. 뿌리 근처의 잎은 잎자루가 길고 날개가 있으며, 줄기의 위쪽으로 갈수록 잎자루는 짧아진다. 꽃은 한여름에 핀다. 종 같은 꽃은 끝이 다섯 갈래로 갈라져 약간 벌어지며 그 속에서 수술이 예쁘게 드러난다. 열매는 세 개의 방으로 되어 있는데 익으면 벌어지고 그 속에 까맣고 작은 종자가 많이 들어 있다. 아주 드물게 흰색의 꽃이 피는 흰자주꽃방망이도 있는데 지금까지 백두산과 태백산에서 발견된 기록이 있다.
자주꽃방망이를 보면 식물체 자체는 길면서 꽃이 많이 달려 있으므로 꽃꽂이용으로 쓰면 좋겠다는 생각이 절로 난다. 물론 자연스러운 정원에도 좋다. 약으로도 이용하는데 동맥경화증, 월경과다, 위통, 변비, 인후염 등 다양한 증상 이용된다. 북부 지방에서는 어린순을 나물로도 먹는다.
자주꽃방망이는 산지의 햇빛이 드는 곳에서 주로 자란다. 따라서 햇빛이 필요하면서도 여름이 서늘한 지역이 좋다. 낮은 곳에서 키우려면 차라리 반그늘이 낫다. 많이 키우려면 씨앗을 뿌리는 것이 가장 좋은데 가을에 익은 종자를 바로 뿌리면 이듬해 봄에 싹이 튼다. 초기에는 땅에 습도를 유지하는 일도 중요하다.
자주꽃방망이는 함백산, 태백산, 설악산, 오대산 등 깊은 산에서 주로 발견된다. 하지만 그 수가 점차 줄어들고 있음이 느껴진다. 꽃이 워낙 인상적이므로 보면 욕심을 내는 이가 많기 때문이다. 아무 곳에서나 자라는 풀이 아니어서, 특히 산에서 살던 것을 옮기면 대부분은 죽이고 만다. 씨앗을 뿌리면 얼마든지 얻으며 적응력도 강해지는데 말이다. 생각해 보면 꽃을 좋아하는 마음과 이를 캐어 내는 마음이 함께 있다는 것이 이상하다.




*웃자퀴즈 323 : 나폴레옹의 묘 이름은?

*힌트:인터넷에 검색하면 정답이 있습니다. ㅎㅎㅎㅎ 매주 월요일 정답 공개 합니다 ㅋㅋㅋㅋ

 

*유익한 포스팅이 아니였다면 아래모양 공감누르지 않으셔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