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MALL

여행

[대구수목원] 한국 원산지 이뇨작용 강심작용이 있고 나물로 먹는 연보라색 무릇(물굿,물구),꽃,효능. *대구수목원에 나물로 먹는 한국 원산지 연보라색 무릇(지란) 꽃이 무리를지어 아름답게 피었습니다. ♣뜻은 '강한 자제력' 입니다. 1. 무릇(지란) 꽃: 효능은 봄철에 잎과 줄기를 캐서나물로 먹는다.비늘 줄기는 둥굴레참쑥과 함께 고아서 물엿처럼 먹기도 한다.뿌리는 진통효과가 있으며 혈액의 순환을 왕성하게 하고 부어오른 것을 가시게 하는 효능이 있다.허리와 팔다리 쑤시고 아픈데,타박상 등을 치료 한다.종기나 유방염,장염등에 효과가 있다.동의학에서는 혈을 잘 돌게 하고 해독하며 부종을 내리고 통증을 멈춘다.강심작용,이뇨작용,자궁수축작용,유선염,타박상,요통,다리통증,산후어혈,부스럼등에 쓴다. 2. 무릇 명패: 무릇 꽃:속명은 물굿,물구 라고도 하며 생약명으로는 지란,면조아,천산,지조,전도초근 이라고도 부른다... 더보기
[대구수목원] 희귀식물 유독식물 꽃과 잎을 동시에 볼 수 없는 한국특산식물로 지정된 백양꽃(상사화),꽃,유래. *대구수목원에 꽃이 필때는 잎이 없고, 잎이 달려있을 때에는 꽃이없어 꽃과잎이 서로 그리워한다는 의미로 상사화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지는 상사화속 백양꽃(상사화) 꽃이 곱게 피었습니다. ♣ 꽃말은 '초가을의 그리움, 진한 미소' 입니다. ◈ 희귀종 상사화 단지는 3년전 개설 되었는데 올해 활착 되었습니다. 1. 백양꽃(상사화) 꽃: 꽃과 잎을 동시에 볼 수 없다는 상사화, 백양꽃도 상사화랑 같은 집안이다. 상사화와 백양꽃은 봄에 잎이 먼저 나오지만 꽃무릇(고창 선운사나 영광 불갑사의 군락 유명)이나 개상사화는 가을에 잎이 나온다. 다들 알뿌리식물이라 그런지 꽃이 참 크고 아름답다. 2. 백양꽃 명패: 추위에 약해 주로 남부지역에서 자생한다. 백양꽃이란 이름은 전남 백양사에서 처음 발견되어 붙여진 이름이.. 더보기
[대구수목원] 유독식물 희귀식물 항염증 효과가 있는 제주상사화,꽃,효능,유래. *대구수목원에 꽃이 필때는 잎이 없고, 잎이 달려있을 때에는 꽃이없어 꽃과잎이 서로 그리워한다는 의미로 상사화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지는 제주상사화 꽃이 곱게 피었습니다. ♣ 꽃말은 '이룰 수 없는 사랑' 입니다. ※ 멀리 제주도까지 가지 않고도 대구수목원에서 희귀종인 제주상사화를 만날 수있어서 너무나 기쁩니다. 1. 제주상사화: 한반도 자생식물인 ‘제주상사화’ 추출물 속 성분이 항염증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동물실험으로 확인됐다. 2. 제주상사화 명패: 제주상사화는 한국특산식물 입니다. 3. 제주상사화: 다년생 초본으로 인경은 구형이다. 4. 제주상사화: 잎은 선형이며 길이는 30-40cm, 폭은 18-25㎜, 색상은 연한 녹색, 5월에 말라 없어진다. 5. 제주상사화: 꽃은 8월에 피고 황미백색으로 .. 더보기
[대구수목원] 한국 원산지 특이한 희귀종 흰꽃 위도상사화(흰상사화),꽃,효능,유래. *대구수목원 기념식수원에 희귀종 상사화단지에는 현지까지 가지않고 대구에서도 귀한 위도상사화(흰상사화) 꽃을 볼 수 있습니다. ♣ 꽃말은 '이룰수 없는 사랑' 입니다. 1. 상사화의 유래는 잎이 봄에 나와 5월경에 사라진후 8월경에 꽃대가 나와 꽃을 피우기 시작하기 때문에 꽃과 잎이 서로 만나지 못하고 서로 사모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2. 오늘은 대구에서 자생하지 않는 위도상사화를 소개합니다.위도상사화(흰상사화)는 전북 부안군 위도면에 자생하는 한국원산지 휘귀종 상사화류입니다. 3. 상사화속에는 대표상사화인 분홍상사화, 위도상사화, 제주상사화, 붉노랑상사화, 진노랑상사화, 백양꽃, 꽃무릇(석산) 등이 있습니다. 4. 위도상사화는 위도지방에서 처음 채집되었다 해서 붙여졌다. 5. 위도상사화의 잎은 .. 더보기
[대구수목원] 유독식물 꽃과 잎을 동시에 볼 수 없다는 희귀식물 붉노랑상사화,꽃,어원,유래. *대구수목원에 꽃이 필때는 잎이 없고, 잎이 달려있을 때에는 꽃이없어 꽃과잎이 서로 그리워한다는 의미로 상사화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지는 붉노랑상사화 꽃이 곱게 피었습니다. ♣ 꽃말은 '이룰 수 없는 사랑' 입니다. 1. 붉노랑상사화 꽃: 붉노랑상사화의 어원은 붉노랑은 꽃색이 주로 연한 노랑색을 띠나 직사광선이 강한데서는 붉은 빛을 띠기 때문이다. 2. 붉노랑상사화 명패: 붉노랑상사화는 수선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변산반도, 내장산과 불갑산, 제주도에서 자생한다. 3. 붉노랑상사화 꽃: 상사화 이름의 유래는 상사화는 꽃과 잎이 서로를 생각한다는 뜻으로 지어진 이름이다. 왜냐하면 상사화는 꽃이 피면 잎이 없고, 잎이 나 있을 땐 꽃이 피지 않기 때문이다. 4. 붉노랑상사화 꽃: 붉노랑상사화는 꽃의 .. 더보기
[대구수목원] 염증 치료제로 사용하며 새순은 나물로 먹고 범꼬리 같다는 꽃범의꼬리(급기),꽃,효능,유래. *대구수목원에 지사제 지혈제로 사용되는 연분홍색 또는 흰색의 꽃범의꼬리 꽃이 아름답게 되었습니다. ♣꽃말은 '청춘, 젊은날의 회상' 입니다. 1. 꽃범의꼬리 꽃(급기): 꽃범의꼬리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원산지는 북아메리카로 주로 배수가 잘 되는 곳에서 서식한다. 꽃은 7월에서 9월에 걸쳐 피고, 보라색, 흰색 등이 있다. 2. 꽃범의꼬리 명패: 효능은 어린잎과 줄기; 식용 한다. 전초; 수렴제,지사제,지혈제로 사용함. 3. 꽃범의꼬리 꽃: 꽃범의꼬리를 유럽 북부에서 오래 전부터 식용해 왔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봄에 어린 잎을 데쳐서 나물로 먹기도 하고,잎을 말려 차로 마시기도 하는데 불안한 마음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잎과 뿌리는 베인 상처를 낫.. 더보기
[대구수목원] 지사작용 향균제로 사용되고 백중날 연꽃대신 부처님께 공양하였다는 털부처꽃(천굴채),꽃,효능,유래. *대구수목원에 지사제료 사용되고 백중날 부처님께 공양하였다는 털부처꽃(천굴채)에 벌과 나비들의 낙원이 되었습니다. ♣꽃말은 '비연,슬픈사랑' 입니다. 1. 부처꽃(천굴채): 부처꽃의 유래는 불교의 명절인 백중날 연꽃대신 색깔이 비슷한 이꽃을 공양 하면서 이름이 부처꽃으로 유래 되었다고 합니다. 2. 부처꽃 명패: 부처 꽃은 습지나 냇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3. 부처꽃 줄기: 줄기에 털이 있는것을 털부처 꽃이라고 합니다. 일반 부처꽃에는 줄기와 잎엔 털이없다. 줄기는1m정도높이로 자라며 가지가 갈라진다. 줄기에 마주나는 피침형잎은 잎자루가거의없고 끝이뽀족하며 가장자리가밋밋하다. 4. 부처꽃: 부처꽃은 잎겨드랑이에 3-5개의 붉은꽃이달려 층층이달린것처럼보인다. 흰꽃이피는것은 흰부처꽃이다부처꽃은 홍자색.. 더보기
[대구수목원] 꽃이 필때는 잎이 없고, 잎이 달려있을 때에는 꽃이없어 꽃과잎이 서로 그리워 하는 상사화,꽃,효능,전설,유래. *대구수목원에 곱게핀 상사화(분홍상사화)는 꽃이 필때는 잎이 없고, 잎이 달려있을 때에는 꽃이없어 꽃과잎이 서로 그리워한다는 의미로 상사화라는 이름을 붙었다고 전해집니다. ♣꽃말은 '이룰수 없는사랑' 입니다. 1. 분홍상사화 꽃: 이름의 유래는 잎이 있을 때는 꽃이 없고 꽃이 필 때는 잎이 없으므로 잎은 꽃을 생각하고 꽃은 잎을 생각한다 하여 상사화라는 이름이 붙었다.개가재무릇이라고도 한다. 2. 상사화 명패: 지방에 따라서는 개난초라고도 한다.우리나라가 원산지이다.비늘줄기는 지름 4~5cm의 공 모양 또는 넓은 달걀꼴이고 겉은 검은빛이 도는 짙은 갈색이다. 3. 분홍상사화 꽃: 관상용·약용으로 이용된다.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4. 분홍상사화 꽃: 잎은 봄철에 비늘줄기 끝에서 잎이 모여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