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MALL

여행

대구수목원 - 9월의 대표꽃 추석 전후하여 꽃이피는 꽃무릇(석산),꽃,효능,유래,전설. *대구수목원에 9월의 대표적인꽃! 6개동산에 해독작용과 추석을 전후하여 정열적으로 울긋불긋 불타는 전설의꽃 꽃무릇(석산)꽃이 무리를지어 아름답게 불타고 있습니다. ♣뜻은 '슬픈 추억' 입니다. 1. 꽃무릇(석산): 산기슭이나 습한 땅에서 무리지어 자라며, 절 근처에서 흔히 심는다.꽃줄기의 높이는 약 30~50cm 이다. 잎은 길이 30~40cm, 너비 1.5cm 정도로 길쭉하며 10월에 돋았다가 한 다발씩 뭉쳐져 겨울을 지내고, 다음해 5월이 되면 차차 시들어 사라진다. 2. 꽃무릇(석산) 명패: 8월 초에 잎이 완전히 자취를 감춘 후 희읍스름한 꽃대가 쑥 솟아나서 길이 1m 가량 자란다. 9월에 꽃대머리에 산형 꽃자례로 4~5개의 붉은 꽃이 커다랗게 핀다. 여섯 개의 화피는 거꾸로 된 얇은 바소꼴이고 .. 더보기
대구수목원 - 새순은 나물로 먹고 염증 치료제로 사용하며 범꼬리 같다는 꽃범의꼬리(급기),꽃,효능,유래. *대구수목원에 지사제 지혈제로 사용되는 연분홍색 또는 흰색의 꽃범의꼬리 꽃이 아름답게 되었습니다~~~ ♣꽃말은 '청춘, 젊은날의 회상' 입니다. 1. 꽃범의꼬리 꽃(급기): 꽃범의꼬리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원산지는 북아메리카로 주로 배수가 잘 되는 곳에서 서식한다. 꽃은 7월에서 9월에 걸쳐 피고, 보라색, 흰색 등이 있다. 2. 꽃범의꼬리 명패: 효능은 어린잎과 줄기; 식용 한다. 전초; 수렴제,지사제,지혈제로 사용함. 3. 꽃범의꼬리 꽃: 꽃범의꼬리를 유럽 북부에서 오래 전부터 식용해 왔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봄에 어린 잎을 데쳐서 나물로 먹기도 하고,잎을 말려 차로 마시기도 하는데 불안한 마음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잎과 뿌리는 베인 상처를.. 더보기
대구수목원 - 소변불통에 좋고 밤에는 꽃이만개 낮에는 꽃이지는 허브식물 향수로 쓰이는 옥비녀 닮은 옥잠화(뇌공칠),꽃,효능,유래. *대구수목원 향수로 쓰이고 옥비녀 같이 생긴 옥잠화(뇌공칠)꽃이 낮에는 꽃이 오므라들고 밤에는 꽃이 무리지어 아름답게 활짝 피어납니다! ♣꽃말은 '침착, 조용한사랑, 추억, 영리한 어린승녀' 입니다. 1. 옥잠화(뇌공칠) 꽃: 꽃은 깔대기 모양으로,강한 향기가 난다. 허브식물로 가치가 뛰어나며,화장품으로도 개발되어 있다. 2. 옥잠화 명패: 효능 (한약재):어린 잎은 나물로 식용 한다 꽃은 인후,종통,소변불통,창독,소상 치료제로 쓴다 꽃에서 추출한 향수가 특산물로 개발 되었다. 3. 옥잠화 꽃: 잎은 응저,정창,사교상,동자상 치료로 쓴다. 뿌리는 소종,지혈,해독에 효능이 있다. 열이 있으면서 소변을 잘못보는데 쓴다. 4. 옥잠화 꽃: 후두염,편두선염에 쓴다. 5. 야간의 옥잠화 꽃: 유래는 꽃봉오리가 마.. 더보기
대구수목원 - 꽃과 잎을 동시에 볼 수 없다는 상사화 유독식물 휘귀식물 한국특산식물로 지정된 백양꽃(상사화),꽃,유래. *대구수목원에 꽃이 필때는 잎이 없고, 잎이 달려있을 때에는 꽃이없어 꽃과잎이 서로 그리워한다는 의미로 상사화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지는 상사화속 백양꽃(상사화) 꽃이 곱게 피었습니다. ♣ 꽃말은 '초가을의 그리움, 진한 미소' 입니다. ◈ 휘귀종 상사화 단지는 2년전 개설 되었는데 올해 활착 되었습니다. 1. 백양꽃(상사화) 꽃: 꽃과 잎을 동시에 볼 수 없다는 상사화, 백양꽃도 상사화랑 같은 집안이다. 상사화와 백양꽃은 봄에 잎이 먼저 나오지만 꽃무릇(고창 선운사나 영광 불갑사의 군락 유명)이나 개상사화는 가을에 잎이 나온다. 다들 알뿌리식물이라 그런지 꽃이 참 크고 아름답다. 2. 백양꽃 명패: 추위에 약해 주로 남부지역에서 자생한다. 백양꽃이란 이름은 전남 백양사에서 처음 발견되어 붙여진 이름이.. 더보기
대구수목원 - 항염증 효과가 있는 유독식물 휘귀식물 제주상사화,꽃,효능,유래. *대구수목원에 꽃이 필때는 잎이 없고, 잎이 달려있을 때에는 꽃이없어 꽃과잎이 서로 그리워한다는 의미로 상사화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지는 제주상사화 꽃이 곱게 피었습니다. ♣ 꽃말은 '이룰 수 없는 사랑' 입니다. ◈ 이 상사화 꽃밭은 지난해 처음으로 개설 되었는데 올해 활착 되었습니다. ※ 멀리 제주도까지 가지 않고도 대구수목원에서 휘귀종인 제주상사화를 만날 수있어서 너무나 기쁩니다. 1. 제주상사화: 한반도 자생식물인 ‘제주상사화’ 추출물 속 성분이 항염증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동물실험으로 확인됐다. 2. 제주상사화 명패: 제주상사화는 한국특산식물 입니다. 3. 제주상사화: 다년생 초본으로 인경은 구형이다. 4. 제주상사화: 잎은 선형이며 길이는 30-40cm, 폭은 18-25㎜, 색상은 연한 녹색.. 더보기
대구수목원 - 항암작용 한국원산지 나물로 먹고 연한 자주색꽃 벌개미취(자원),꽃,효능,유래. *대구수목원에 한국 원산지 항암작용이 있는 연한 자주색 벌개미취(자원) 꽃이 무리를 지어 흐드러지게 아름다운 꽃이 피었습니다. ♣ 꽃말은 '너를 잊지 않으리, 추억, 숨겨진사랑, 청초, 그리움' 입니다. 1. 벌개미취 꽃: 연한 자주색 꽃이 6~10월에 핀다. 한여름 내내 120일 이상 꽃이 핀다. 유래는 개미가 꽃대에 작은 하얀 솜털이 다닥다닥 붙어있는 것이 개미처럼 보여서 붙인 이름이다. 2. 벌개미취 꽃: 효능은 뿌리와 잎은 항암작용이 있고,폐기능의 모든 질병에 효과가 있다. 기침을 멋게하고 폐결핵,천식,폐암 등에 활용 합니다. 3. 벌개미취 꽃: 벌개미취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원산지는 대한민국으로 주로 제주도와 경기도 이남지역에 분포해 있다. 4. 벌개미취 꽃: .. 더보기
대구수목원 - 이뇨작용 강심작용이 있고 나물로 먹는 한국 원산지 연 보라색꽃 무릇(물굿,물구),꽃,효능. *대구수목원에 나물로 먹는 한국 원산지연보라색무릇(지란)꽃이무리를지어 아름답게 피었는데 벌들의 낙원이 되었습니다. ♣뜻은 '강한 자제력' 입니다. 1. 무릇(지란) 꽃: 효능은 봄철에 잎과 줄기를 캐서나물로 먹는다.비늘 줄기는 둥굴레참쑥과 함께 고아서 물엿처럼 먹기도 한다.뿌리는 진통효과가 있으며 혈액의 순환을 왕성하게 하고 부어오른 것을 가시게 하는 효능이 있다.허리와 팔다리 쑤시고 아픈데,타박상 등을 치료 한다.종기나 유방염,장염등에 효과가 있다.동의학에서는 혈을 잘 돌게 하고 해독하며 부종을 내리고 통증을 멈춘다.강심작용,이뇨작용,자궁수축작용,유선염,타박상,요통,다리통증,산후어혈,부스럼등에 쓴다. 2. 무릇 꽃: 무릇 꽃:속명은 물굿,물구 라고도 하며 생약명으로는 지란,면조아,천산,지조,전도초근 이.. 더보기
대구수목원 - 휘귀식물 유독식물 꽃과 잎을 동시에 볼 수 없다는 상사화 붉노랑상사화,꽃,어원,유래. *대구수목원에 꽃이 필때는 잎이 없고, 잎이 달려있을 때에는 꽃이없어 꽃과잎이 서로 그리워한다는 의미로 상사화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지는 붉노랑상사화 꽃이 곱게 피었습니다. ♣ 꽃말은 '이룰 수 없는 사랑' 입니다. 1. 붉노랑상사화 꽃: 붉노랑상사화의 어원은 붉노랑은 꽃색이 주로 연한 노랑색을 띠나 직사광선이 강한데서는 붉은 빛을 띠기 때문이다. 2. 붉노랑상사화 명패: 붉노랑상사화는 수선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변산반도, 내장산과 불갑산, 제주도에서 자생한다. 3. 붉노랑상사화 꽃: 상사화 이름의 유래는 상사화는 꽃과 잎이 서로를 생각한다는 뜻으로 지어진 이름이다. 왜냐하면 상사화는 꽃이 피면 잎이 없고, 잎이 나 있을 땐 꽃이 피지 않기 때문이다. 4. 붉노랑상사화 꽃: 붉노랑상사화는 꽃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