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MALL

여행

대구수목원 / 종교관련식물원에 희귀종 성서에서 나오는 샤론의 장미 밤에만 향기를 발하는 거미처럼생긴 거미백합,꽃. *대구수목원 종교관련식물원에 꽃의 모양이 거미처럼 생긴 성서에서 나오는 샤론의 장미 희귀종 순백색의 거미백합 꽃이 아름답게 피었습니다. ♣ 꽃말은 '자기 사랑, 고결함' 입니다. ※ 문주란 꽃으로 오인 하지마세요! 1. 거미백합 꽃: 높이는 45~60CM까지 자라고, 개화기는 7~10월까지이며 흰색의 꽃이 핀다. 2. 거미백합 명패: 꽃은 꽃대 끝이 여러 갈래로 갈라져 그 끝에 한 송이씩 달린다. 꽃에서는 바닐라향이 나며, 꽃잎과 수술이 붙어 있다. 3. 거미백합 꽃: 키는 60~70cm 정도이며,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기 한다. 잎의 모양은 넓은 선형으로 가장자리가 매끈하다. 잎의 끝은 뾰족하다. 4. 거미백합 꽃: 햇볕이 잘 드는 양지바른 곳에서 키운다. 흙은 습기를 머금고 있는 상태가 좋으니 촉촉하게.. 더보기
대구수목원 / 인후염과 편도선 질환에 사용하는 한국 원산지 희귀종 특이한 흰꽃 위도상사화(흰상사화),꽃,효능,유래. *대구수목원 기념식수원에 희귀종 상사화단지에는 현지까지 가지않고 대구에서도 귀한 위도상사화(흰상사화) 꽃을 볼 수 있습니다. ♣ 꽃말은 '이룰수 없는 사랑' 입니다. 1. 상사화의 유래는 잎이 봄에 나와 5월경에 사라진후 8월경에 꽃대가 나와 꽃을 피우기 시작하기 때문에 꽃과 잎이 서로 만나지 못하고 서로 사모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2. 오늘은 대구에서 자생하지 않는 위도상사화를 소개합니다.위도상사화(흰상사화)는 전북 부안군 위도면에 자생하는 한국원산지 휘귀종 상사화류입니다. 3. 상사화속에는 대표상사화인 분홍상사화, 위도상사화, 제주상사화, 붉노랑상사화, 진노랑상사화, 백양꽃, 꽃무릇(석산) 등이 있습니다. 4. 위도상사화는 위도지방에서 처음 채집되었다 해서 붙여졌다. 5. 위도상사화의 잎은 .. 더보기
대구수목원 / 한국 원산지 강장제 해소 천식 영양제로 쓰고 슬픈 전설이 깃든 참나리(백합),꽃,효능,전설. *대구수목원 화단에 우리나라 원산지 해소 천식 영양제·강장제로 쓰는 참나리(백합)꽃이 아름답게 피었습니다. ♣뜻은 '순결, 깨끗한 마음' 입니다. 1. 참나리(백합) 꽃: 백합과(百合科 Li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전국의 산야에서 자라며 키는 1m 이상이고 흑자색이 돈다. 땅속에는 여러 개의 비늘잎을 가진 둥근 비늘줄기가 있고, 줄기는 곧추선다.어긋나는 잎은 잎겨드랑이에 갈색의 주아(珠芽)가 있다. 2. 참나리 명패: 꽃은 7~8월에 줄기 끝의 총상(總狀) 꽃차례에 달리며 포엽(苞葉)은 피침형이다. 꽃은 밑을 향하는데 길이가 7~10㎝인 꽃덮이조각[花被片] 6장은 피침형으로 떨어져 있으며 황적색 바탕에 흑자색 반점이 있고 뒤로 말린다. 짙은 적갈색의 꽃밥이 있는 6개의 수술은 꽃 밖으로 길게 .. 더보기
대구수목원 / 해독작용이 있고 잎이 달려있을 때에는 꽃이없고, 꽃이 필때는 잎이 없어서 꽃과잎이 서로 그리워 하는 상사화(개난초),꽃,효능,전설,유래. *대구수목원에 곱게핀 해독작용이 있는 상사화(분홍상사화)는 꽃이 필때는 잎이 없고, 잎이 달려있을 때에는 꽃이없어 꽃과잎이 서로 그리워한다는 의미로 상사화라는 이름을 붙었다고 전해집니다. ♣꽃말은 '이룰수 없는사랑' 입니다. 0. 분홍상사화 꽃: 지난해는 분홍상사화 꽃이 8월 7일 개화 했는데, 올해 새로 조성한 상사화 단지에 줄가가 짧은 신품종 분홍상사화 꽃이 7월23일 개화 하였습니다. 1. 분홍상사화 명패: 이름의 유래는 잎이 있을 때는 꽃이 없고 꽃이 필 때는 잎이 없으므로 잎은 꽃을 생각하고 꽃은 잎을 생각한다 하여 상사화라는 이름이 붙었다.개가재무릇이라고도 한다. 2. 상사화꽃: 지방에 따라서는 개난초라고도 한다.우리나라가 원산지이다.비늘줄기는 지름 4~5cm의 공 모양 또는 넓은 달걀꼴이고 .. 더보기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 백일해 기침에 좋은 배롱나무의 원조 자미화(배롱나무),꽃,효능,전설. *대구시 중구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에 자주색, 붉은색, 분홍색, 흰색의 꽃이 100일간다는 자미화(배롱나무) 꽃이 예쁘게 피어었습니다! ♣꽃말은 '떠나간벗을 그리워하다, 부귀, 꿈, 수다스러움' 입니다. 1. 위의 사진은 자미화(자주색 배롱나무) 입니다.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에는 우리나라에서는 휘귀종인 배롱나무의 원조 자미화(자주색 배롱나무)가 3그루 식재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 배롱나무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붉은색배롱나무는 34그루(79%)가 식재되어 있습니다. 분홍색배롱나무도 3그루 식재되어 있습니다. 또한, 휘귀종이며 배롱나무중 약효가 가장좋은 흰색배롱나무도 3그루가 식재되어 있어서 여기에 오시면 모든종류의 배롱나무 꽃을 만날 수 있습니다. 2. 배롱나무는 글자로는 보라색 꽃이지만 붉은 꽃도 흔하고 분홍.. 더보기
대구수목원 / 한국원산지 염료 피부염에 쓰이고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 샛노란 애기솔나물(바위갈퀴),꽃,효능. *대구수목원에 한국원산지 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염료로쓰고 방부 효과가 있어 해독, 해열, 피부염, 간염, 편도선염 등 세균성 질환에 쓰이는 우중의 애기솔나물(바위갈퀴) 황색꽃이 아름답게 피었습니다! ♣꽃말은 '고귀한 사랑' 입니다. 1.애기솔나물 꽃: 애기솔나물은 우리나라 특산종 한국 원산지 제주도 한라산 정상에서 자란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2.애기솔나물 명패: 한라산 정상부근에서 백록담 근처 초원이 고향인 애기솔나물은 7월초부터 노랑 빛 바탕으로 물들인다. 3.애기솔나물 꽃: 솔나물과 같지만 모든 부분의 크기가 작아 ‘애기솔나물’이라 한다. 4.애기솔나물 꽃: 키가 작기 때문에 쓰러지지 않아 관상가치가 높다. 마디에 돌려난 잎은 솔잎처럼 가늘고 원줄기에서 8개씩 돌려난다. 5.애기솔나물 꽃: 노.. 더보기
대구여행 / 대구시 국채보상로 일대 3년 만에 돌아온 2022 파워풀대구페스티벌, 달구벌 거리예술제, 퍼레이드 경연 1, 2, 3부. *2022 파워풀대구페스티벌(Powerful Daegu Festival) 기간 : 2022.7.9(토) ~ 2022.7.10(일) 장소 : 대구광역시 국채보상로 일대(서성네거리 ~ 종각네거리) 요금 : 무료 전야제 : 2022.7.8. 주요내용 : 전야제, 퍼레이드, 거리예술제, 아트마켓 등 파워풀대구페스티벌 달구벌거리예술제 파워풀대구페스티벌 퍼레이드 경연 3부 : 홍준표 대구광역시장 참석 파워풀대구페스티벌 퍼레이드 경연 3부 : 대구시티투어 2층버스 파워풀대구페스티벌 달구벌거리예술제 : 아이스 이글루 극장 파워풀대구페스티벌 달구벌거리예술제 : 페스티벌 푸드트럭 파워풀대구페스티벌 달구벌거리예술제 : 쿨링포그 시스템 파워풀대구페스티벌 달구벌거리예술제 : 페스티벌 푸드트럭 파워풀대구페스티벌 달구벌거리예술제 .. 더보기
대구수목원 / 항암작용 고혈압에 쓰이고 벌레를 유인하기 위해 하햔잎으로 위장하는 특이한 삼백초(천성초),꽃,효능. *대구수목원에 벌레를 유인하기위해 하햔잎으로 위장하고 잎,꽃과 뿌리가 흰색인 삼백초(천성초) 특이한 꽃이 피었습니다. ♣꽃말은 '행복의 열쇠, 가련' 입니다. -잎윗쪽에 하얀색은 꽃이지면 녹색으로 다시 변합니다~~~ 1. 삼백초 꽃:삼백초(三白草)는 ‘3가지 흰 색깔을 지닌 풀’이라는 뜻이다. 3가지 흰색이란 꽃이 필 때쯤 꽃 밑에 있는 2~3개의 잎이 하얗게 변하고 꽃과 뿌리 또한 흰빛을 띠는 것을 말한다. 2. 삼백초 명패:제주도와 지리산 일부 지역에서 나는 여러해살이풀로, 습기가 많은 계곡의 바람이 잘 통하고 공중습도가 높으며 반그늘인 곳에서 자란다. 제주도 한경면 고산리 및 용수리의 습지나 논물 도랑 등에 많은 개체가 자라고 있었으나, 민간 약재로 쓰이면서 자생지가 많이 훼손되었고, 최근에는 멸종.. 더보기